[朴·文·安 대선 전쟁] 朴 ‘국민행복캠프’, 상황실 삼엄한 통제… 보안제일

입력 2012-10-29 19:18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 후보 캠프는 체계적인 중앙당 시스템을 바탕으로 운영된다. 야권 후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긴 하지만 방대한 조직과 느린 의사결정 구조 때문에 그동안 화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다. 종합상황실 관계자는 29일 “소통을 강화하고 업무를 효율적으로 나누기 위해 그동안 질리도록 회의를 했다”며 “김무성 총괄선거대책본부장이 온 뒤로 확실히 의사결정이 빨라졌다”고 말했다.

그동안 새누리당에선 선대위원장이 주재하는 공식 회의 말고도 김 본부장이 주재하는 실무회의, 공보단과 조직본부, 종합상황실 등 단위별 회의가 수시로 열렸다. 이런 과정을 통해 서로 다른 분야와 이력을 가진 사람들이 들어와 있는 선대위가 어느 정도 손발을 맞춰 돌아가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한 선대위 관계자는 “요새는 회의에 들어갔다 나오면 이제 뭔가 (일이) 되어가는구나 하는 느낌이 든다”고 했다.

선대위 조직이 정비되면서 그동안 박 후보에게 집중돼 있던 권한과 책임도 분산됐다. 다양한 스피커와 메신저가 등장하면서 박 후보 입만 쳐다보던 분위기를 탈피했다는 얘기다. 김성주 공동선대위원장은 여성 대통령론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고, 안대희 정치쇄신특별위원장과 한광옥 국민통합위원회 수석부위원장도 정치쇄신과 대통합 의제를 던지는 식이다. 선대위 주변에선 “이제 한번 해볼만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조직을 정비하고 신속한 의사결정 구조도 갖췄지만 특유의 보안주의는 여전하다. 당사 10층 상황실 앞에는 ‘용무가 있으신 분은 전화 예약 후 외부에서 만나주시기 바랍니다. 관계자만 출입합니다’라고 적힌 종이가 붙어 있다. 새누리당 안내 간판이 붙어 있는 다른 층과 달리 10층엔 아무런 문패도 없어 당에서도 무슨 일이 이뤄지고 있는지 아는 사람이 많지 않다.

후보 일정이 늘어난 만큼 그에 대한 보안도 강화됐다. 핵심 관계자는 “일정이 최종 확정되기 전에는 수행팀과 공보단에도 통보되지 않아 일정 홍보에 어려움이 있다”면서도 “박 후보는 정치 인생을 시작한 뒤 줄곧 도감청 대상이 됐고, 그래서 무슨 일을 하든지 첫 번째 고려 사항이 보안주의가 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