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포커스] ‘단일화=승리’ 野 믿음 뒤의 함정
입력 2012-10-29 19:02
18대 대통령 선거가 ‘D-50’을 맞았다. 과거 대선과는 달리 유력 대선주자인 ‘빅3’의 지지율이 추석연휴 이후 한 달째 고착화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 다자구도에서는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여전히 1위를 달리고 있지만 양자구도에서는 오차범위 내 접전 양상이다.
대선 판도를 흔들 수 있는 최대 변수는 야권 후보 단일화다. 야권 후보 측도 대체로 ‘단일화=승리’라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 2002년 대선의 학습효과로 보인다. 하지만 올해 대선은 2002년과 여건이 달라 단일화되더라도 야권 후보의 승리를 장담할 수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그 근거는 단일화 이후 야권 후보 지지자 중 일부가 이탈할 수 있다는 점이다. 2002년 대선 당시에는 노무현 후보가 정몽준 후보의 지지층은 물론 일부 부동층까지 흡수했다. 단일화 직전 지지율(코리아리서치 조사)은 정 후보 20.7%, 노 후보 19.0%에 머물렀으나, 단일화 이후 노 후보 지지율이 42.0%로 치솟아 35%대에 그쳤던 이회창 후보를 압도했다.
하지만 이번 대선에서는 누구로 단일화되든 탈락한 후보 지지자의 10∼25%가 떨어져 나갈 것으로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관측한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후보의 지지가 겹치지 않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무당파로서 안 후보를 지지하는 이들이다. 이들은 민주당이 단일화의 목표로 삼고 있는 정권교체보다 안철수식 정치 쇄신에 관심이 많아 문 후보로 단일화될 경우 일부가 투표를 포기하거나 박 후보로 옮겨갈 가능성이 있다. 안 후보로 단일화될 경우에도 진보적인 문 후보 지지자들에게서 같은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2002년 대선 때는 단일화로 인해 ‘1+1=2+α’의 시너지 효과가 있었다. 당시만 해도 부동층이 20%중반에 달했다. 하지만 올해 대선은 부동층이 10% 미만에 불과하다. 안 후보가 이미 부동층을 상당 부분 흡수했다. 따라서 올해는 단일화로 인한 부동층의 ‘밴드 왜건 효과’(편승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투표율도 단일화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단일화에도 불구하고 전체 투표율이 70%를 넘기지 못하면 야권 후보가 불리해진다. 특히 야권 성향의 20∼30대 투표율이 낮아지면 단일화 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오히려 보수층의 결집을 강화시켜 이들의 투표율이 높아질 수 있다.
단일화 과정이 얼마만큼 감동적이냐도 변수다. 2002년 대선 때는 이질적인 두 후보가 후보등록 이틀 전에 단일화에 합의해 극적인 효과가 컸지만 이번 대선은 안 후보가 출마하기 전부터 단일화는 고정된 상수(常數)가 됐다. 따라서 감동적인 단일화 과정이 없으면 컨벤션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29일 “단일화 과정이 감동을 주지 못하면 투표에 대한 동기부여가 현저히 약해지고 결과적으로 낮은 투표율로 이어져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