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건강격차 심한 71개동 특별 관리
입력 2012-10-29 22:10
서울시가 사망률과 자살률이 높은 시내 71개 동 152만명을 특별 관리한다. 시는 이 같은 내용의 ‘서울시 건강형평사업’을 내년부터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3월 ‘건강격차 해소를 위한 보건정책방안 수립’ 연구에 착수한 지 7개월 만이다.
71개 동은 시 전체 연령별 사망률에 따른 예상 사망자수 대비 실제 사망자수 비율인 ‘표준화 사망비’와 주거환경을 중심으로 삶의 질을 수치화한 ‘박탈지수’가 모두 하위 20%인 지역이다. 해당 지역엔 현재 152만1134명이 살고 있다.
시는 우선 자치구 중심으로 진행돼온 자살 예방사업을 동별로 세분화해 보다 집중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그동안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자살 예방사업이 진행됐다면, 이번 사업에서는 고위험군에 속하는 주민 개개인에게 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해 예방 효과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동별 통·반장, 지역 내 사회복지사나 약국 주인, 보건소 근무자 등이 힘을 합쳐 고위험군 주민을 조기에 발견하면 시는 이들에게 지속적인 관리를 제공하는 식이다.
출산 전 우울증이나 양육 스트레스 등에 시달리는 저소득층 가정과 산모를 선별, 임신 20주부터 아이가 두 살이 될 때까지 간호사들이 직접 방문해 건강을 관리해주는 ‘산전-아동기 건강형평사업’도 펼친다.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금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금연 캠페인도 추진한다.
시는 또 건강위원회를 설치, 건강격차 감소 방안을 개발토록 할 방침이다. 취약계층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보건의료시설을 늘리고, 어린이 치과 주치의 사업이나 무료 예방접종 등을 확대해 건강격차가 대물림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한다.
시에 따르면 2009년 기준 사망률이 높은 자치구는 중랑·금천·강북·노원·동대문구 순이다.
반면 사망률이 낮은 자치구는 서초·강남·송파구로 소득수준이 사망률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경호 시 복지건강실장은 “사는 동네가 어디든 누구나 건강한 서울시민으로 살아갈 권리가 있다”며 “이를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경 기자 vic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