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간제 보육시설·가정보육사 확충한다

입력 2012-10-29 01:54

서울시내에 영유아 자녀를 4시간 이내로 잠시 맡길 수 있는 보육시설과 집으로 찾아가 아이를 잠시 돌보는 가정보육사가 확충된다. 육아돌봄공동체에 대한 지원도 확대된다.

서울시는 젊은 엄마들의 육아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시간제 보육을 활성화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시설·가정 보육 양립 지원종합대책’을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종합대책에 따르면 시는 먼저 25개 자치구에 1개씩 설치된 영유아플라자 중 15곳에서 실시 중인 시간제 보육을 내년에 20곳으로 확대한다. 이와 별도로 국공립 어린이집이나 동주민센터, 아파트 단지 등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시간제 보육도 내년 5곳, 2014년 75곳에서 실시할 예정이다.

시간제 보육은 전담 보육교사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사이 최대 4시간 동안 아이를 맡아 돌보는 제도다.

시는 또 기존 영유아플라자와 보육정보센터의 기능을 통합해 육아지원 서비스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통합형 육아지원센터를 설치한다. 내년에 5개 자치구에서 시범실시한 후 2014년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한다.

가정에서 돌봄 서비스를 받길 원하는 부모를 위한 지원책도 마련됐다. YWCA 등 4개 비영리단체에서 운영 중인 ‘가정보육사 파견사업’에 인건비와 운영비 일부, 교육비 등을 지원함으로써 가정보육사를 2017년까지 600명(2014년부터 매년 200명씩) 양성할 계획이다.

시는 아울러 2014년 보육서비스의 품질과 인력 관리를 전담하는 전문기관을 설립해 4만6470명에 이르는 보육 관련 돌봄 종사자를 통합관리하기로 했다. 또 3년마다 어린이집을 재평가해 기준미달 시설은 퇴출하고 온라인 보육신문고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시는 또 자치구별로 1명씩 보육교사·사회복지사·유치원교사 자격증이 있는 보육코디네이터를 양성해 부모들이 자조적으로 육아 돌봄 공동체 모델을 개발, 실현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공모를 거쳐 선정되는 육아돌봄공동체에는 최대 5000만원씩 자금을 지원한다. 대상은 올해 15곳, 2014년 40곳, 2017년 70곳이다.

시는 아울러 보육의 공공성을 높이기 위해 국공립 어린이집을 올해 80곳, 내년 100곳, 2014년 100곳 등 280곳 늘려 시내 424개 동에 최소 2곳씩 설치할 계획이다.

조현옥 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관(官)이 주도하고 예산을 많이 투입하는 지원책보다는 공동체의 가치를 살려 함께 키우고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는 데 역점을 뒀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