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단일화, 앞으로 보름이 분수령

입력 2012-10-28 19:18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 캠프의 단일화 협상 시계가 돌아가기 시작했다. 문 후보 측은 무소속 안철수 후보와의 단일화와 정치쇄신, 정책 조율 등을 함께 논의하는 ‘3각 협상’을 제기한 상태다.

이목희 선대위 기획본부장은 28일 “안 후보 캠프 반응을 기다리고 있다. 이번 주(11월 3일) 안에는 양측이 대화를 시작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김기식 미래캠프 지원단장도 “최소한 다음 주까지는 단일화 준비를 위한 트랙이 깔려야 한다”고 했다. 안 후보 측이 11월 10일 이후 단일화 논의에 응하겠다고 밝힌 만큼 대선 후보 등록일(11월 25∼26일) 전까지 단일화 논의를 위한 물리적인 시간은 보름 정도다. 시간이 촉박할수록 단일화 방식이 단순 여론조사로 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문 후보 측은 안 후보 측과 논의를 서둘러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 단장은 “지난해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박원순·박영선 단일화 방식(여론조사 30%, TV토론 후 배심원단 평가 30%, 국민참여 경선 40%)을 적용한다고 칠 때 최소한 열흘 정도는 필요하다. 10일 이후 단일화 논의를 시작하면 국민참여 경선이 힘들어진다”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여론조사로 단일화 승부를 짓는 것을 최대한 피하려 하고 있다.

하지만 캠프 안에서는 다른 목소리도 나온다. 한 캠프 관계자는 “문 후보가 ‘단일화는 국민 동의를 전제로 이뤄져야 하고, 정책을 고리로 한 가치연합이어야 한다’는 두 가지 원칙을 갖고 있다”면서 “지금을 단일화 시기·방법 같은 걸로 안 후보를 압박하기보다 서로 정책 경쟁을 할 시기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경쟁하다 보면 국민의 단일화 요구가 나올 거고, 방식도 그때 가서 국민이 선호하는 방식으로 하면 된다는 생각”이라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안 후보보다 지지율이 낮은 상태에서는 어떤 방식도 불리할 수 있어 일단 지지율을 높이는 게 관건”이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이에 따라 양측은 당분간 정치쇄신 차별화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안 후보 측도 국회의원 감축 등을 지속적으로 제기하며 문 후보와 각을 세울 전망이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