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제동원 공탁금-이제는 돌려 받아야 한다] “연합국총사령부가 국가 간 배상 문제로 돌려…”

입력 2012-10-25 21:40


4회 : 잡아뗀 日, 방조한 美-전후 6년의 잘못이 60년 미해결로 남았다

일본 규슈대학 매튜 어거스틴(38·사진) 교수는 일본에서 태어난 미국인이다. 그는 3년 전 미국 유학 시 동북아역사재단과의 인연을 계기로 1945년 전후 조선인 강제동원 피해자 공탁금 문제를 파고들었다. 그리고 ‘화해를 위한 보상’이란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국내 학계에서 공탁금을 연구한 사례를 찾기 힘들다는 점에서 1951년까지 전후 6년간 한국 미국 일본이 이에 어떤 선택을 내렸는지를 보여주는 소중한 결과물이다.

지난 13일 세미나 참석차 서울을 방문한 어거스틴 교수를 숙명여대 교정에서 만났다. 그는 조선인 강제동원 노무자를 “이중 삼중의 피해자”로 정의했다. 중국만 해도 연합국 전승국 신분으로 국가 간 배상에 포함됐지만 조선은 배제되면서 강제동원 피해자들도 영향을 받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또 미국이 1948년 이후 일본을 공산주의 최종 저지선으로 삼으면서 한국보다 일본 입장에 서서 이 문제를 바라본 것도 문제라고 꼬집었다.

어거스틴 교수는 그래도 가장 큰 책임은 일본에 있다고 했다. 그는 “전후 일본기업은 조선인 노무자 미불 임금에 대한 엄청난 자료를 갖고 있었음에도 제대로 신고하지 않았다”며 “해결하려는 의지가 있었다면 해결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연합군총사령부(GHQ)가 개인의 재산권 문제를 국가 간 배상 문제로 틀어버리면서 결국 이런 미해결 상황이 일어났다”며 “한국전쟁마저 터지면서 이 문제는 동결됐다”고 말했다. 67년째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근본 원인에 미국의 책임도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특별취재팀=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