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새누리·선진당 공식 합당… 보수대연합 명분 시너지 효과엔 의견 갈려
입력 2012-10-26 00:03
새누리당이 25일 충청권을 기반으로 둔 선진통일당과의 합당을 공식 선언했다. 박근혜 대통령 후보는 중원(中原) 싸움에서 지원군을 얻었고 2008년 ‘건강한 보수’를 기치로 등장했던 선진당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선진당 이인제 대표와 국회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가치관과 정체성을 공유해온 두 당이 하나가 돼 시대 소명에 부응하고 국민의 여망을 받들기로 했다”며 “통합을 통해 당 혁신과 정치 개혁을 강력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용광로 쇠처럼 뜨겁게 결합해 박 후보를 압도적으로 당선시키자”고 했다.
이 대표는 대선 역할에 대해 “백의종군하겠다”고 했고 황 대표는 “이 대표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선진당 이회창 심대평 전 대표에게 상세히 말씀드렸고 전폭적인 지지를 표명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전 대표 측은 “이인제 대표와 만난 적도 통화한 적도 없다. 합당에 의사 표명을 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박 후보는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기자들과 만나 “함께 힘을 합해주셔서 진심으로 기쁘고 감사드린다”며 “국민이 더 잘사는 나라를 만드는 데 많은 힘이 돼 주실 것”이라고 화답했다. 세종시 원안 사수로 ‘원칙과 신뢰’ 이미지를 굳혔던 박 후보에게 충청은 각별한 지역이다.
아울러 새누리당 이한구, 선진당 성완종 원내대표는 과학비즈니스벨트에 대한 정부 투자 확대와 태안 기름유출 사고 피해주민 보상 지원 등 ‘충청권 7대 정책’을 실천키로 합의했다. 두 당은 각각 합당안을 의결한 뒤 공동수임기구에서 최종 추인해 합당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1987년 직선제 도입 이후 역대 대선을 보면 충청권에서 가장 많은 표를 얻은 후보가 항상 대통령이 됐다. 이 때문에 충청 표심은 늘 ‘캐스팅보트’로 평가돼 왔다. 특정 후보에게 압도적으로 표를 몰아주지 않는 특징도 있다. 2002년 노무현 후보가 간신히 50%대를 득표했고 다른 대선에선 당선자 득표율이 30∼40%대에 머물렀다.
새누리당에서도 합당 효과에 대한 분석은 엇갈린다. 일단 선진당이 4·11 총선 충청지역 비례대표 투표에서 받은 31만표 상당수가 박 후보 지지율에 흡수될 것으로 기대하는 눈치다. 반면 현재 선진당의 충청권 지지율이 1%대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있다. 합당에 반발하는 선진당 내부 움직임도 변수다. 충남도당위원장인 류근찬 전 의원은 합당 반대 성명을 냈다. 선진당 출신 조순형 전 의원도 라디오 인터뷰에서 “양당체제의 잘못을 견제하고 비판할 제3당이 필요하기 때문에 합당보다는 연대를 해야 한다. 합당 효과도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영삼 전 대통령은 이날 부산을 방문, 김무성 선대위 총괄본부장 등 부산지역 전·현직 의원들과 회동했다. 부산·울산·경남(PK) 지역 민심이 흔들리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회동이 새누리당 지지자들의 결집 효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당 관계자는 “김 전 대통령은 ‘열심히 하라’고 덕담을 건넸다”고 전했다.
유성열 유동근 기자 dg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