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1100원 붕괴] 정부 “아직은…” 하락속도 완만해 좀더 주시

입력 2012-10-25 18:51

원·달러 환율이 1000원대로 떨어지면서 정부가 딜레마에 빠졌다. 단기적으로 외환시장 개입은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지만 연이은 환율 하락으로 수출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을 마냥 지켜볼 수도 없기 때문이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25일 정부과천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환율 수준보다는 변동성과 속도에 유의해야 한다”면서 “다른 나라와 상대적인 관점에서 비교해야 한다는 점에서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1100원선이 깨진 것에 대해 당장 크게 의미를 두지는 않지만 신중하게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것이다.

박 장관은 그러면서도 “원화강세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상수지 등 대외건전성이 양호하다는 평가를 받는 점이 작용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미국 등의 양적완화로 유동성이 늘어난 데다 상대적으로 양호한 대외건전성 때문에 어느 정도의 원화 강세(환율 하락)는 불가피하다는 인식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환율이 하락하면 수입물가도 내려가는데, 정부가 개입해 환율을 올리면 수입물가가 다시 올라 소비자부담이 그만큼 늘게 되는 것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글로벌 경기침체로 우리 경제를 지탱하는 수출이 부진한 상황에서 환율마저 떨어지면 수출업체뿐 아니라 성장잠재력에도 막대한 피해를 입게 돼 정부로서는 부담이 되지 않을 수 없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원·달러 환율이 10% 하락할 경우 우리나라 공산품의 수출 가격은 평균 2.1% 상승한다고 분석했다. 환율 하락을 완화시킬 수 있는 ‘보이지 않는 손’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정부가 시장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당장 직접적인 개입보다는 외국환평형기금채권 등 외환보유고를 통해 조심스럽게 움직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대희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정부가 시장에 인위적으로 개입하지는 않겠지만 통상 외환보유고를 가지고 미세조정을 한다”면서 “대외 무역거래에 충격이 오는 것을 줄이기 위해 과도하게 움직이는 변동성을 막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백상진 선정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