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 취임 1주년… 시민·현장중심 정책으로 차별화, 뉴타운 출구전략 부진엔 비판도

입력 2012-10-24 22:10


박원순(56) 서울시장이 오는 27일로 취임 1주년을 맞는다. 무상급식을 둘러싼 논란 끝에 오세훈 시장이 자진사퇴하면서 치러진 보궐선거에 당선된 박 시장은 ‘시민 중심’ ‘현장과 소통’을 내걸고 1년간 숨 가쁘게 달려 왔다.

박 시장은 복지·교육·공동체 회복 등 시민들의 삶의 질을 바꾸는 정책에 무게 중심을 뒀다는 평가를 받는다. 무상급식 예산지원, 서울시립대 반값 등록금 시행, 산하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국·공립보육시설 확충 등 공약으로 내걸었던 사안들이 대표적이다.

취임 후 처음 서명한 서류가 친환경 무상급식 예산 지출 건이었다. 시는 시내 초등학생과 중학교 1학년생 등 59만8000명에 대한 무상급식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2014년까지 대상을 중학생 전체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올해 서울시립대 등록금을 절반(인문사회계열 신입생 기준 한 학기 111만4000원)으로 낮췄고, 공공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입학제도 개선을 추진 중이다. 국·공립 어린이집도 112곳 확충했으며, 2014까지 280곳을 더 늘릴 계획이다. 임대주택도 연내에 예정 물량(1만6305호)을 초과한 2만2000호를 공급할 예정이다. 서울메트로, 시설공단 등 시 산하 비정규직 종사자 1133명을 정규직(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한 것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저소득층 19만명의 생계를 지원하는 내용 등이 담은 ‘서울시민복지기준’ 확정·추진을 비롯해 뉴타운 출구전략, 도시공동체 회복을 위한 마을 만들기, 행정정보 공개 확대, 공공의료 복지 강화, 서울성곽 복원 등에도 힘을 쏟고 있다.

대규모 토목사업을 중시하던 전임 시장 때와 달리 시민들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시스템을 바꾸는 소프트한 정책들이 대부분이다.

박 시장 정책들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있다. 한강예술섬과 서해뱃길사업 등을 유보한 것은 ‘전임 시장 흔적 지우기 아니냐’는 지적을 받았다. 부채 7조원 감축 공약의 실현에 대한 의혹의 눈길은 여전하고, 뉴타운 출구전략도 정부 협조를 이끌어내지 못해 진행에 속도감을 더하지 못 하고 있다.

박 시장은 24일 시청 신청사에서 가진 취임 1주년 기자회견에서 “좌절하고 절망하는 일도 없지 않았지만 ‘시민의 이익’과 ‘서울의 미래’라는 두 잣대로 모든 것을 처리해 왔다”고 자평했다.

그는 특히 “앞으로도 ‘시민의 삶을 바꾸는 첫 번째 시장’이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현장 행정을 또다시 강조했다. 첫 행보로 오는 11월 1일 임시로 시장실을 은평 뉴타운지역으로 옮겨 일주일간 머물며 미분양된 SH공사 아파트 정리와 입주자들이 겪는 고통 해소 방안 등을 찾겠다고 약속했다.

도시발전을 위한 ‘박원순표 사업’이 필요한 거 아니냐는 지적에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살아있는 도시로 만들 방안을 고민 중이다. 동대문만 하더라도 100년 역사의 가게와 장터·한약방이 있고, 광장시장의 원단, 을지로의 조명, 종로3가의 주얼리 상권이 있다”면서 “이것만 잘 살려도 도시 경제는 회복되고 이는 곧 관광산업으로도 연결된다”고 말했다.

재선 의사를 묻자 “서울시장이 되기 위해 인생을 살지 않았다. 재선을 하기 위해 일하는 시장보다는 시대가 요구하는 시장이 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