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500억 적자” F1대회 폐지론 다시 고개… 전남도의 낙관 불구 도의회 “전면 재검토” 결단 촉구

입력 2012-10-24 19:35

적자가 계속되고 있는 전남 영암 F1코리아 그랑프리 대회 폐지론이 전남도의회를 중심으로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올해 대회 운영 적자가 최소 400억∼500억원으로 추산되면서 3년간 누적적자 규모가 1700억∼1800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4일 전남도와 전남도의회에 따르면 대회 주최 측인 도는 국가 차원의 홍보 효과가 크기 때문에 정부 지원과 F1대회 주관사 FOM(포뮬러원매니지먼트)과의 추가 협상을 통해 운영비를 최소화하는 등의 고비용 구조를 개선해 대회를 계속 치른다는 입장이다.

도는 한국을 대표하는 모터스포츠 행사로 자리 잡은 F1대회가 연착륙하고 있다는 시각이다. 내년에 F1지원법이 개정되고 정부 지원과 기업 참여, 다각적 마케팅이 동반되면 장기적으로 흑자대회를 치를 수 있다는 낙관론을 굽히지 않고 있다.

하지만 전남도의회 분위기는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박철홍(민주·담양1) 의원은 23일 제272회 임시회 2차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열린 F1대회의 적자가 400억원대에 달한다”며 전남도의 결단을 촉구했다. 안주용(진보·비례) 의원도 “막대한 세금을 낭비하는 F1은 전면 재검토돼야 한다”면서 “지난해 감사원 감사결과를 볼 때 당초 타당성 조사부터 잘못된 만큼 중간평가를 통해 근본 대책을 세우라”고 질타했다.

서남해안개발사업(일명 J프로젝트) 선도사업의 명분을 내걸고 시작된 F1대회의 의미와 역할이 퇴색했다는 판단이다. 따라서 열악한 재정을 압박하는 이 대회를 과감히 포기해 세금 지출을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F1대회는 올해의 경우 개최권료 494억원, 조직위 운영비 250억원 등 총 744억원이 들었다. 그러나 입장료 등 각종 수입은 221억원에 불과해 적자폭이 최소 400억∼500억원이 될 것으로 추산됐다. 운영적자는 원년인 2010년 725억원, 지난해 598억원으로 누적적자 규모가 1700억∼1800억원대이다. 여기에 경주장 건설비를 충당하기 위해 발행한 지방채 2477억원 등을 더하면 누적손실은 4855억원

(감사원 감사결과) 수준이다.

F1조직위원회 관계자는 “연말쯤 올해 대회의 수익성 분석이 끝날 것”이라며 “고비용의 낭비성 행사라는 오명과 적자의 덫을 벗기 위한 돌파구를 찾겠다”고 말했다.

목포=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