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文·安 ‘정치개혁’ 충돌 왜… 安, 논란 뻔한데 쇄신안 발표

입력 2012-10-24 21:39


대선을 55일 남겨둔 24일 안철수식(式) 새 정치와 기성 정치가 충돌했다. 전날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가 밝힌 정치혁신안을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 측이 ‘아마추어리즘’이라 비판했고, 안 후보는 다시 “국민과 정치권 사이에 엄청난 괴리가 있다”며 맞받았다. 정치를 ‘개혁’하겠다는 문 후보와 정치는 ‘혁신’해야 한다는 안 후보가 첫 일합(一合)을 겨루면서 야권 후보 단일화는 기성정치 대 새 정치, 현실론 대 이상론의 대결 구도가 돼 가는 모양새다.

“허경영 민주공화당 총재를 캠프 정치개혁위원장으로 영입한 것이냐.”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가 전날 인하대 강연에서 밝힌 정치혁신 방안에 대해 진보신당은 24일 이같이 논평했다. 안 후보가 제시한 국회의원 100명 감축 및 중앙당 폐지 주장이 “정당제도 폐지” “국회의원 옷 다 벗기겠다” 등 허 총재의 발언과 유사한 점을 꼬집은 것이다.

이렇듯 안 후보는 인하대 발언으로 진보와 보수를 떠나 기성 정치권 모두의 공격을 받고 있다. 안 후보가 출마 선언 후 각계에서 동시에 비판받는 것은 처음이다. 상당수 학자들은 ‘이건 아닌데’라며 고개를 갸웃거리고 있고, 캠프에 참여한 교수들 가운데는 “짐 싸서 나가겠다”는 격앙된 반응도 나왔다. 다른 캠프 관계자들은 대변인 공식 멘트 외에는 언급 자체를 꺼렸고, 여론의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캠프 일각에서는 안 후보가 실수로 자살골을 넣은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기성 정치권과 확실히 ‘각’을 세웠다는 점에서 철저히 계산된 행보라는 관측이 보다 설득력을 얻고 있다. 복수의 캠프 관계자들에 따르면 안 후보는 김호기 연세대 교수가 이끄는 정치혁신포럼이 만든 여러 개의 정치개혁안 중 국회의원 감축, 중앙당 폐지, 정당 국고보조금 축소 등 3대 방안을 직접 선택했다. 그러나 안 후보와 논의에 참여한 교수들 사이에서 찬반 논란이 상당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3∼4명의 교수들은 “국회의원 감축은 해결책이 아니다”고 강력히 반대했고 최종 회의에도 불참했다는 후문이다.

정치혁신포럼의 한 교수는 “끝까지 반대한 교수 한 분은 안 후보와 따로 앉아 설득하기도 했다”며 “안 후보가 최종 선택한 것”이라고 전했다. 다른 교수는 “(국회의원 감축안 발표를) 몰랐다”며 “정치개혁 방법론은 입장이 다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 결국 캠프 내부의 극심한 찬반 논란에도 불구하고 안 후보가 캠프 고위층과 의논해 전략적으로 발표한 정황이 짙다.

송호창 공동선대본부장은 브리핑을 통해 “국민들의 정치 불신을 해결하지 않고는 정치인으로 첫 발을 내딛는 안 후보가 더 이상 할 게 없다”며 “기득권 포기도 꼭 필요하다”고 안 후보를 옹호했다.

현재 안 후보는 범야권 진영으로부터 점점 더 거센 후보 단일화 압박을 받고 있다. 대선 후보 지지율 역시 정체되면서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에 비해 확실한 우위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안 후보가 기성 정치권과 치열하게 싸우는 모습을 통해 지지층을 결집시키고 존재감을 부각시키는 일종의 승부수를 띄운 것 아니냐는 관측이다.

안 후보는 이날 국민이 제안하면 현장을 직접 방문하는 ‘철수가 간다’ 1탄으로 청년 아르바이트생을 만났고, 덕수궁 앞 쌍용차 해고 노동자들의 단식농성 현장을 찾아 위로했다.

엄기영 김아진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