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安 후보 부인 김미경 교수 임용은 특권”
입력 2012-10-23 22:08
정수장학회 문제로 집중 포화를 맞고 있는 새누리당이 야권 후보들의 의혹을 집중 부각시키며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김세연, 이에리사, 강은희 등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의원들은 23일 서울대 국정감사를 앞두고 기자회견을 열어 “안철수 후보 부인인 김미경 교수의 서울대 임용과 정년 보장은 특권과 반칙”이라며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이들은 “김 교수를 임용하는 과정에서 젊은 교수들로 구성된 ‘서울 의대를 사랑하는 교수 모임’이 문제를 제기하며 의대 교수들에게 서신을 보냈다”고 밝혔다. 공개한 서신에는 “총장이 안 후보를 스카우트하면서 안 후보가 부인의 정년 보장 정교수직을 강력하게 요구해 관철시켰다고 한다. 이는 의대 인사가 연구 역량 강화라는 명분과 달리 실제로는 정치적으로 무원칙하게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돼 있다.
김 의원은 “다른 정교수의 정년보장 심사결과가 92.5%라는 절대 다수의 찬성으로 가결됐던 것과 달리 김 교수는 찬성 비율이 57.1%로 겨우 가결되는 결과가 나왔다”며 임용 과정에서 내부 반발이 적지 않았음을 지적했다. 이어진 국정감사에서도 의원들은 서울대 오연천 총장을 상대로 김 교수의 연구 실적 미흡, 생명공학정책 분야 신설 이유 등을 집중적으로 캐물었다.
이성헌 선대위 국민소통위원장은 선대본부 회의에서 “안 후보가 지난해 10·26 재·보선을 앞두고 정치 참여 의사를 밝힌 뒤 안랩 주가가 16만원대까지 오르자 안 후보와 2대 주주가 주식을 팔아 각각 1000억원이 넘는 수익을 올렸고, 안 후보가 안랩 주식을 기부한 후에는 주가가 폭락했다”고 지적했다.
오전에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의원들이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아들의 한국고용정보원 부정 입사 의혹을 제기하며 청문회를 요구했다. 이들은 “문 후보 아들이 2006년 입사 당시 필수 서류인 학력증명서를 기한 내에 제출하지 않았음에도 합격했다”고 주장했다. 김상민 의원은 “당시 고용정보원의 모집 기간은 2006년 12월 1일부터 6일까지였지만 고용정보원이 보유한 문 후보 아들의 졸업예정증명서는 같은 달 11일에 출력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