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새누리당 “盧, 폐기 지시한 것 아니냐”… NLL 포기 발언 논란
입력 2012-10-23 19:17
새누리당은 23일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 의혹과 관련해 국회 본회의 긴급 현안질의와 4개 상임위 연석회의 개최를 제안하는 등 총공세를 폈다. 특히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를 직접 겨냥해 NLL 문제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밝히라고 압박했다.
새누리당 이한구 원내대표는 국정감사 종반대책회의에서 “민주당은 국정조사 개최 요구와 국회 정보위의 (2007년 남북정상회담과 관련된 대통령 기록물) 열람 요구를 거부하고 있다”며 본회의 긴급 현안질의를 요구했다. 또 “노 전 대통령은 왜 10∼30년간 열 수 없는 지정기록물로 자기의 회담 기록을 묶어놓았는지, 무엇을 감추려 했는지 문 후보는 분명히 밝히라”고 주장했다. 그는 안 후보를 향해서도 “NLL을 영토선으로 생각하는지 아닌지 답하라”고 몰아붙였다.
박근혜 대통령 후보는 전북 전주에서 기자들과 만나 ‘노 전 대통령이 재임 중 청와대 회의에서 차기 정부에 인계할 일부 문건과 목록을 없애도록 지시했다’는 보도에 대해 “그 보도를 보고 참 놀랐다. 그런 일이 어떻게 있을 수 있느냐”면서 “이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무성 총괄선대본부장도 선대본부회의에서 “당시 문재인 비서실장도 그 자리에서 함께 상의한 것으로 보도됐다. 무엇이 무서워 역사를 감추려 했는지 국민 앞에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새누리당은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노무현 정권 영토포기 진상조사 특위를 노무현 정권 영토포기 및 역사폐기 진상조사 특위로 확대했다.
이에 대해 노무현재단은 “전혀 사실이 아니며 회의 내용의 앞뒤 발언을 다 빼버리고 일부분만 인용한 악의적 날조”라고 반박했다. 재단은 성명을 내고 “보도에 나온 2007년 5월 22일 수석·보좌관회의 참석자들에 따르면 노 대통령의 발언은 공개해야 할 주제 중 비밀기록이나 지정기록으로 분류해 공개하지 말아야 할 내용이 연계된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 논의하던 중에 나온 발언”이라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기록관에는 당연히 원본 그대로 이관된다는 것을 전제로, 차기 정부에 공개기록을 인계하는 과정에서 목록까지 공개해서는 안 되는 지정기록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말이었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박수현 의원도 국감 상황점검회의에 참석해 “노 전 대통령은 2007년 남북정상회담 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에서 ‘NLL은 안 건드리고 왔다. 내 맘대로 자 대고 죽 긋고 내려오면 제가 내려오기 전에 우리나라가 발칵 뒤집혀질 것 아닙니까. 내려오지도 못합니다’라고 연설했다”고 전했다.
김재중 임성수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