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문화재단, 여론조사 축소… 결과도 은폐”
입력 2012-10-22 19:01
원자력문화재단(이하 재단)이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원전 관련 여론조사를 축소하고 결과도 공개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22일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소속 민주통합당 우윤근 의원이 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재단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연말에 원전에 관한 여론조사를 하고 결과를 공표했다. 그런데 후쿠시마 사태가 발생하고서 작년 말에는 정기 조사를 취소했다. 대신 외부에 공개하지 않는 간이 여론조사만 9차례 실시하고 관련 예산은 절반 수준인 9500만원으로 축소했다.
앞서 재단은 한국이 아랍에미리트연합 원전을 수주한 다음 해인 2010년도 여론조사 예산을 1억8100만원으로 대폭 늘리고 간이 조사를 연 10회로 확대했다. 올해 3월에 실시한 간이 여론조사에서는 원전이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58.6%)이 안전하다는 답변(34%)보다 많았다.
이 조사 결과는 비공개 처리됐다가 최근 재단이 우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서 확인됐다. 원전이 안전하다는 응답은 2010년 11월 정기 여론조사에서는 53.3%, 2009년 10월 정기 조사에서는 61.1%였다.
우 의원은 “재단이 MB 정부의 원자력 산업 선전대 노릇을 하다가 이제는 국민의 원전에 대한 안전의식을 억압하는 기구로 전락한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며 “재단이 국민을 위해 실제 어떤 일들을 하고 있는지, 존립이 필요한지 따져보겠다”고 밝혔다.
우 의원은 또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월성 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안전점검 결과 최종보고서 내용을 한국수력원자력과 사전 협의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우 의원은 “한수원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월성 1호기 계속 운전에 관한 IAEA의 안전점검을 앞둔 지난해 9월 20∼21일 양측은 빈 IAEA 본사에서 예비실무회의를 열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전 협의가 안전성에 관한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한수원과 조율하는 것을 의미한다면 IAEA 점검의 객관성이 크게 흔들릴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