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GCF 유치, 녹색 글로벌 허브에 대한 기대

입력 2012-10-21 20:13

국제기구 진출 인력 늘려 기여도 높이고 실리 얻어야

한국이 녹색성장의 글로벌 허브로 떠올랐다.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을 지원하는 국제금융기구 녹색기후기금(GCF)은 20일 인천 송도에서 열린 2차 이사회에서 투표를 통해 사무국 유치도시를 인천 송도로 결정했다. 이제 인천 송도는 명실 공히 국제도시로서 부상할 터다.

GCF는 신생 국제기구이나 앞으로 기금 규모가 국제통화기금(IMF)에 견줄 정도로 확대될 전망이다. 한국이 중량급 국제기구를 유치하게 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번 결정은 우리의 위상을 또 한 번 높여준 쾌거다. 특히 이번 이사회 투표에서 한국은 기후변화 분야에서 원조 규모가 세계 2위인 독일을 제치고 유치에 성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는 그간 한국이 녹색성장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표명하고 구체적인 노력을 기울여왔음을 국제사회가 높이 평가했다는 뜻이다. 그뿐 아니라 한국은 글로벌 의제를 추진하는 중심거점으로서 부족함이 없다는 평판을 확보하게 됐다. 즉 한국은 녹색성장 글로벌 허브의 이미지를 앞세운 국가 이미지로 국격(國格) 상승의 특수를 맛보게 된 것이다

경제적 실속도 적지 않을 것 같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GCF 사무국의 상주 직원 500∼1000명뿐 아니라 수많은 국제회의가 벌어질 것을 감안할 때 직간접적인 경제효과가 연 3800억원을 웃돌 것으로 전망한다. GCF가 본격적으로 활동을 개시하게 되는 2020년 이후에는 경제효과는 더욱 확대될 뿐 아니라 그와 더불어 국가 이미지도 좋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국격이 오르는 것과 더불어 책임도 따른다는 점을 유념하지 않으면 안 된다. GCF의 탄생 배경이 공업화를 먼저 달성한 선진국들이 후발 개도국들의 기후변화 적응 및 저탄소 개발을 유도하기 위한 기금 출자·지원에 있으므로 사무국을 유치한 한국도 그에 걸맞은 책임을 떠안아야 한다. 그간 한국은 유엔 기후변화회의에서 개도국 지위를 유지하는 데 힘써왔기 때문이다. 이제 한국은 실질적인 선진국 대열에 서서 개도국에 대한 지원을 솔선수범하는 역할을 맡아야 한다.

차제에 국제기구에 대한 한국의 기여도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한국은 현재 유엔 사무총장과 세계은행(WB) 총재를 배출했으며 얼마 전에는 두 번째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으로 뽑힐 정도로 겉은 근사하다. 하지만 실제로 국제기구에서 활약하는 한국인 직원은 그리 많지 않다. 기획재정부 자료에 따르면 WB, IMF에 내는 한국의 지분 분담률은 각각 1.23%, 1.41%인데 한국인 직원 비율은 0.76%, 0.95%에 불과하다.

유엔 산하기구에 대한 한국의 분담금 총액은 전체 가입국 가운데 11위에 속하지만 프로젝트 수주는 70위권에 머물고 있다. 국제기구 한국 유치도 이제 걸음마단계다. 이번 GCF 유치를 계기로 더 많은 우리 젊은이들이 국제기구에 진출하도록 유도해 한국·한국인의 국제 기여도를 높이고 그에 걸맞은 실리도 찾아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