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에 양담배 20년 만에 다시 등장 논란… 지역 시민단체, 중단 촉구
입력 2012-10-21 19:38
20년간 양담배(외국산 담배)가 사라졌던 전남 담양에서 일부 편의점들이 양담배 판매를 재개하면서 찬반논란이 첨예하게 일고 있다.
담양군은 “전국 240여개 지자체 가운데 유일하게 양담배 판매가 중단됐다가 만 20년 만인 지난 6월부터 일부 편의점에서 다시 팔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담양청년회의소와 ‘담양을 사랑하는 모임’ 등은 1989년부터 ‘양담배는 사지도 팔지도 말자’는 계몽활동을 벌였다. 주민들의 참여와 호응으로 1992년 외국산 담배는 담양에서 종적을 감췄다.
양담배 추방운동에 따라 전체 12개 읍·면의 담배소매점 200여곳에서 양담배 판매대가 모두 철거된 것이다. 담양군민들은 이후 ‘양담배 없는 고장’이라는 자부심을 갖게 됐다. 하지만 지난 6월 중순 담양 터미널 주변 편의점 등 2곳에서 양담배를 다시 들여놓으면서 ‘자랑스런’ 전통이 깨졌다
양담배 판매점은 하나둘씩 늘어 어느새 10여곳에서 국산담배와 양담배를 함께 판매하고 있다. 양담배가 다시 등장하자 담양지역 20여개 시민단체들은 최근 지역신문에 “담양의 자존심을 위해 양담배 거래를 중단해 달라”는 내용의 광고를 실었다. 이들 단체는 “20년 동안 이어온 양담배 없는 고장이라는 명성을 잇자”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양담배 추방을 위한 거리캠페인과 홍보전단 배포 등을 통해 판매업자들을 압박하기로 했다.
이에 양담배 판매업자 등은 “지방세 수입에 도움을 줄뿐 아니라 관광객과 흡연자들의 ‘담배 선택권’을 존중해야 된다”며 맞서고 있다. 이들은 “과거에는 양담배에 지방세가 부과되지 않았으나 현재는 국산과 똑같은 세금을 내고 있다”면서 “소쇄원과 영화촬영이 자주 이뤄지는 메타세쿼이아 숲길,죽녹원 등을 둘러보기 위해 연간 100만명의 관광객들이 담양을 찾는 데 이들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방세수에 도움이 되는 만큼 관행적인 양담배 추방논쟁이 불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담양군 관계자는 “양담배 점유율이 40%에 이르고 판매를 제지할 법적 근거가 없다”면서 “양담배 무풍지대라는 명성이 시장경제 논리 앞에서 무너질 위기에 놓였다”고 말했다.
담양=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