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 ‘곽노현 지우기’ 가속도

입력 2012-10-21 19:34

곽노현 전 서울시교육감이 추진했던 소규모·테마형 수학여행 의무화 방침이 전면 재검토된다. 시교육청이 곽 전 교육감 흔적 지우기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소규모 수학여행을 의무화하지 않고, 개별 학교가 수학여행의 형태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당초 시교육청은 올해부터 소규모 수학여행을 의무화할 방침이었지만 곽 전 교육감 퇴진 후 철회한 것으로 보인다. 소규모 수학여행은 학급 단위의 소규모 인원이 주제를 정해 특정 지역을 답사하는 방식의 체험 활동으로 지난해 도입돼 단계적으로 실시해 왔다. 학년 단위의 대규모 인원이 제주도 등 인기 여행지만 형식적으로 둘러보던 기존 방식에서 탈피하자는 취지였다.

그러나 도입 초기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많았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지난해 “기존의 대규모 수학여행보다 교육적 효과는 높지만 소수 인솔교사만 동행하기 때문에 갑작스런 사고에 대처하기 어려워 안전사고가 우려된다”면서 “단위학교가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었다.

시교육청이 곽 전 교육감의 정책을 뒤집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달 27일 곽 전 교육감의 퇴진으로 권한대행을 맡은 이대영 부교육감은 “학교현장에서 갈등만 초래한 잘못된 정책이 있으면 바로잡고 정상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 18일에는 지난해 시교육청과 교육과학기술부가 갈등을 빚었던 ‘방과후학교의 교과 프로그램 비중 제한’ 논란과 관련해 교과부 지침을 재확인하는 공문을 일선 학교에 보냈다. 곽 전 교육감은 교과 교육을 제한하도록 했으나, 교과부는 학교 자율에 맡겨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지난 10일에는 서울지역 모든 초·중·고교에 “두발규제 등 학교 규칙을 학교 자율적으로 만들라”는 내용의 공문을 내려 보냈다. 곽 전 교육감의 주요 공약이었던 학생인권조례를 사실상 무력화했다는 평가다. 이달 초에는 조직개편안을 철회했다. 본청 조직을 축소하고 지역교육청에 학교지원센터(가칭)를 신설하는 것이 골자였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