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與 “이럴거면 회견 왜했나” 한숨
입력 2012-10-21 22:53
새누리당 박근혜 대통령 후보의 정수장학회 ‘정면 돌파’ 카드는 야권 이슈에 끌려다니던 분위기를 바꿔 과거사 논란을 매듭짓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후보는 21일 기자회견에서 “(야당이 제기하는) 의혹 자체가 공익재단 성격을 잘 모르고 하는 주장이다. 알고도 주장한 것이라면 정치적 공세”라고 비판했다. 이어 민주통합당의 ‘정수장학회 공세’에 대해 “이 문제로 여야 반목이 커지고 대선에서 정책이 실종되는 일이 없어져야 한다. 국가적으로 큰 불행”이라고 받아쳤다. 핵심 측근은 “각종 오해에 대해 ‘사실관계는 이렇다’고 설명하고 아울러 명칭 변경을 포함해 이사진에 결단을 촉구했다. 후보로서는 할 수 있는 것을 다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당 안팎에선 “겨우 수면 아래로 가라앉던 과거사 문제를 다시 부각시킨 것 아니냐”며 박 후보의 실기(失期)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이상돈 정치쇄신특별위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후보가 부일장학회에서 정수장학회로 헌납되는 과정을 언급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과거사 문제를 새로 제기했다. 5·16 당시 부정 축재자들의 재산 환수가 어떻게 이뤄졌는지, 과거 정권에서의 진상 규명 과정과 법원 판결의 적절성 논란이 새롭게 제기된 셈”이라고 꼬집었다. 과거사 논란을 털고 가도 모자란 마당에 거꾸로 박 후보 본인이 ‘정쟁의 장’으로 걸어 들어간 격이란 것이다.
박 후보의 자기모순도 도마에 올랐다. 중앙선대위 관계자는 “부정부패했던 사람 재산을 받아 자신이 이사장직을 맡았던 것은 뭐가 되나”고 지적했다. 이상돈 위원도 “‘과거를 접고 미래로 가자’는 후보 자신의 말과 배치된다. 대선을 두 달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본전도 못 건지는 말을 했다”고 말했다.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에 대한 메시지도 선명하지 못해 결과적으로 최 이사장이 빠져나갈 수 있는 빌미를 제공했다는 지적도 있다. 당 고위 관계자는 “분명하게 ‘물러나라’고 선을 긋지 않은 만큼 최 이사장 입장에선 알쏭달쏭했을 것”이라며 박 후보의 책임을 물었다.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은 “이럴 거면 무엇하러 (기자회견을) 했는지 모르겠다. 답답하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후보의 약점인 불통(不通)과 고집스러운 이미지가 부각됐다는 우려도 나온다. 당 관계자는 “단호한 태도가 대선이라는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전략이 될지는 의문”이라고 밝혔다.
유동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