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朴, 정수장학회 정면돌파… 文, 盧색깔빼기 읍참마속

입력 2012-10-21 22:49

아킬레스건에 발목이 잡혀 있던 새누리당 박근혜 대통령 후보와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가 21일 정반대 카드로 국면 돌파를 시도했다. 박 후보는 정수장학회 문제와 관련해 “야당의 주장은 정치공세”라며 정공법에 나선 반면 문 후보는 친노(親盧·친노무현) 패권주의 비판이 확산되자 ‘친노계 집단 퇴진’으로 수습에 나섰다. 박 후보의 정면 돌파와 문 후보의 읍참마속 결단이 60일도 채 남지 않은 대선 정국을 어떻게 바꿔놓을지 주목된다.

박 후보는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수장학회는 개인 소유가 아닌 공익재단으로 어떤 정치활동도 하지 않는 순수한 재단”이라며 “제 소유물이라든가 저를 위한 정치활동을 한다는 야당의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이어 “제가 공익재단에 지분매각을 하라 말라 하는 것은 법치를 무너뜨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필립 이사장 거취 논란에 대해서도 “설립자와 가깝다고 사퇴하라는 것은 정치공세”라고 일축했다.

다만 박 후보는 “이사장과 이사진은 더 이상 정쟁의 도구가 되지 않고, 또 국민적 의혹이 남지 않도록 모든 것을 투명하게 밝혀서 명칭 (변경을) 비롯해 국민에게 해답을 내놓으시길 바란다”고 말해 사실상 이사진 개편과 개명을 요구했다. 박 후보가 강공으로 나선 것은 과거사 문제에 더 이상 밀리지 않겠다는 포석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박 후보가 너무 강경한 입장만 나타냈다” “선거가 더 어려워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반면 문 후보 측의 친노계 핵심 참모 9명은 영등포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선대위 일괄 퇴진’을 선언했다. 민주당 전해철 의원과 이호철 전 청와대 민정수석, 양정철 전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 등 이른바 ‘3철’로 불려온 친노 핵심 3인방과 문 후보 캠프 핵심부서에서 일해온 친노 인사 대부분이 포함됐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친노계는 민주당에서조차 낙인이 돼 버렸다”며 “문 후보의 자원봉사자를 자임했지만 존재 자체가 부담이 된다면 기꺼이 물러날 것”이라고 밝혔다. 친노 인사들의 퇴진 회견 뒤 문 후보는 기자들과 만나 “새로운 정치, 정치 혁신을 이루는 데 밑거름이 되겠다는 충정으로 받아들인다. 고맙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들의 퇴진은 친노에 대한 거부감이 큰 호남에서의 문 후보 지지율 회복을 위한 전략으로 관측된다. 특정 세력 정치를 비판해 온 무소속 안 후보와의 후보 단일화에 지렛대로 활용하겠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손병호 유동근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