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文·安 기싸움 가열 접점 못찾는 단일화
입력 2012-10-18 22:13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가 후보 단일화를 둘러싸고 거듭 엇박자를 내고 있다. 안 후보가 17일 정치혁신 3대 조건(협력 정치, 직접 민주주의 강화, 특권 내려놓기)을 제시했지만 서로 말뿐인 기 싸움만 가열되는 형국이다.
문 후보 측 윤여준 국민통합추진위원장은 18일 KBS 라디오에 나와 “무소속 대통령이 안 된다고 생각하는 이유 중 하나는 책임 정치를 할 수 없다는 것”이라며 또다시 ‘무소속 대통령 불가론’을 꺼냈다. 윤 위원장은 “국민은 선거 때 정당을 심판해서 책임을 묻는다. 그런데 대통령이 정당이 없으면 국민이 누구를 대상으로 책임을 묻겠느냐. 민주정치는 책임 정치인데 책임을 물을 수도 없고 책임을 질 수도 없는 무책임 정치가 된다”고 지적했다. 박지원 원내대표도 안 후보의 정치혁신 3대 조건에 대해 “이미 우리 당뿐 아니라 새누리당에서도 논의하고 있는 것들”이라며 “구두로 이야기해선 쇄신이 이뤄지지 않는다. 정당정치가 필요하다”고 재차 압박했다.
하지만 안 후보 측은 민주당의 논리를 재반박하며 불편한 감정을 숨기지 않았다. 정치혁신에 대한 ‘공감’보다는 ‘실천 의지’에 무게를 뒀다. 김성식 공동선대본부장은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박 원내대표가 주장한 ‘민주당 입당론’을 언급하며 “외람되지만 어떤 언행을 하는 게 좋은지 돌아보시길 바란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단일화를 통한 선거운동 대신 내부 쇄신방안을 더 고민하라는 충고다. 그러면서도 “민주당에서 자기반성과 함께 단일화에 대해 다른 자세를 보이는 흐름들이 나타나는 것 같아 다행스럽다”고 긍정적인 평가도 내놨다.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은 “(정치개혁을 위한) 더 많은 과제들이 남아 있지 않겠느냐”며 추가 조건을 더 제시할 것임을 예고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은 안 후보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서도 노력하는 모습이다. 문 후보 측은 다음 주 일정을 ‘정치개혁’ 행보로 정하고 단일화 논의시기를 앞당기려 하고 있다. 선대위 내 시민단체 인사들로 꾸려진 시민캠프는 이날부터 3일간 ‘민주당에 돌직구를 던져라’란 제목의 정치혁신 국민 대토론회를 열었다. 첫날 토론회에서는 공천제도 개혁, 비례대표제 확대, ‘안철수 열풍’으로 대변되는 정당 혁신 등에 대한 시민들의 주문이 이어졌다. 트위터와 화상전화를 통해서도 다양한 의견이 전달됐다.
그러나 눈에 보이는 변화를 안 후보 측이 실감할지는 미지수다. 당 일각에서는 인적 쇄신이 방법이라는 의견도 계속 나오고 있지만 대선을 2개월여 앞둔 시점에 안 후보의 조건을 맞추기 위해 지도부 사퇴를 감행하는 일이 쉽지 않다는 공감대가 이미 형성돼 있다. 한 정치권 인사는 “민주당 내에서 현재로선 안 후보가 제시한 조건을 충족시키려는 어떠한 움직임도 없다”며 “안 후보가 원하는 쇄신이 인적쇄신일 수도 있고 아예 간판을 내리고 통합을 선언하는 재창당까지 감안한 얘기일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