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박근혜 “지식기반산업으로 신성장동력 삼을 것”
입력 2012-10-18 22:06
새누리당 박근혜 대통령 후보가 18일 공약으로 내건 창조경제론은 정보기술(IT) 등 지식기반산업을 바탕으로 신성장 동력을 확보해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5년 전 한반도 대운하 등 대형 토목사업을 내세웠던 이명박 대통령과 달리 경제정책의 무게중심을 지식산업에 뒀다.
박 후보도 ‘MB노믹스’와의 차별화를 의식한 듯 기자회견에서 “토목 기반의 단기 성장이 아니라 지식 기반의 중장기 성장을 이끌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또 “경제성장률에만 치중하는 사고에서 벗어나 고용률을 높이는 경제운영으로 바꾸겠다”고 했다. 이는 이 대통령의 ‘7·4·7 공약(성장률 7%, 소득 4만 달러, 세계 7대 경제강국)’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당시 “IT 산업으로는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는 데 부족하다”는 입장을 취했고 ‘작은 정부’를 내세우며 정보통신부도 해체했다.
박 후보는 “우리 경제가 나가야 할 창조경제의 기반인 과학기술 분야를 책임지는 행정부처로 미래창조과학부를 신설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정책의 구체성이 떨어지고 지경부 등 정부 부처에서도 비슷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 기존 정책의 재탕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IT를 산업 전반에 적용하는 스마트뉴딜의 경우 정부가 지난달 관계부처 합동으로 ‘IT 융합 확산 전략 2013∼2017’을 발표하는 등 관련 검토를 해 왔다. 선대위 관계자는 “하늘 아래 새로운 정책이 없다. 다만 후보가 이런 부분에 국정 운영의 중점을 두겠다는 말을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후보는 오후 강원도 춘천 삼천동에서 열린 강원도당 선대위 발대식에 참석해 “폐광지역에 레저·관광산업을 육성해 새로운 미래를 열고 접경지역의 평화적, 합리적 개발로 보답하겠다”고 약속했다.
김현길 기자, 춘천=유성열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