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단일화, 安의 반격 “명분없는 타협 없다”

입력 2012-10-18 00:16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가 17일 “내가 정치적으로 빚진 적이 없고 따라서 명분 없는 타협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은 국민들이 다 안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오후 서울 세종대에서 가진 ‘새로운 변화, 새로운 미래’라는 주제의 강연에서 협력의 정치, 직접 민주주의 강화, 특권 내려놓기 등 정치 혁신을 위한 3대 조건을 제시하며 이같이 밝혔다. 캠프 관계자는 후보 단일화를 연일 압박하고 있는 민주통합당에 보내는 메시지라고 했다.

안 후보는 강연에서 “헌법 정신으로 돌아가 대통령은 국회를 존중하고 정당은 국회의원의 의사를 존중해야 한다”면서 “하지만 (현재) 의원들은 양심이 아닌 당론에 따라 표결한다. 당의 명령에 따르라고 국민들이 뽑아준 게 아니다”고 비판했다. 이어 “국민 요구를 실현하기 위해 정당의 소수 권력자에게 집중된 공천권을 국민들에게 돌려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안 후보는 기득권층의 특권 포기를 강하게 언급했다. 그는 “4·11 총선 직후 양당(새누리당과 민주당)에서 경쟁적으로 특권 포기를 약속했다. 그런데 그중 내려놓은 게 있느냐”면서 “유권자인 국민을 속인 것”이라고 말했다.

안 후보 발언은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해석되고 있다. 하나는 안 후보가 단일화에 한발 더 다가갔다는 풀이다. 지난 8일 대구대에서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줘야 한다”고 언급한 데 이어 출마 선언 때 내건 ‘정치쇄신’과 ‘국민의 동의’란 단일화 조건을 보다 구체화했기 때문이다. 안 후보 측 관계자는 “민주당과의 연대, 나아가 통합의 전제조건을 거론한 것”이라고 했다. 그래서 안 후보가 단일화 결단을 예상보다 앞당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그러나 안 후보가 ‘명분 없는 타협은 없다’고 못 박음에 따라 민주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와의 단일화 협상 전망이 더 어두워진 것 아니냐는 전망도 적지 않다. 그가 3대 조건으로 묶어 제시한 정치 혁신 과제가 말처럼 쉽지 않다는 얘기다. 주변에서는 ‘무소속 대통령 불가론’ 등을 비롯해 일련의 민주당의 행태를 안 후보가 곱지 않게 보고 있다는 말들이 많다. 민주당이 정치 쇄신을 하지 않을 경우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포함한 3자 대결 구도로 대선을 완주할 의지를 내비쳤다는 것이다.

일단 문 후보 측은 공감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진성준 대변인은 “문 후보도 수락연설에서 우리 정치가 그런 식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천명한 바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안 후보가 찍은 ‘방점’을 찾기 위해 고심에 들어간 분위기다. 관련기사 3·4·5·6면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