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표 KAIST 총장 “2013년 3월 자진사퇴”… “吳 이사장, MB 뜻이라며 사퇴 종용”

입력 2012-10-17 21:59

‘대학 개혁의 전도사’와 ‘독단적 리더’라는 엇갈린 평가를 받고 있는 서남표 카이스트(KAIST) 총장이 내년 3월 사퇴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서 총장은 17일 서울 시내의 한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년 3월 정기이사회를 끝으로 임기를 마무리하고자 한다”며 “내년 1월 중 후임총장 선임을 위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이사회를 열어달라”고 이사회에 공식 요청했다.

서 총장의 임기는 오는 2014년 7월까지로 내년 3월 사퇴할 경우 임기를 1년 4개월 남기고 물러나게 된다.

서 총장은 이날 자진사퇴 뜻을 밝히면서 오명 이사장에 대해서도 동반사퇴를 촉구했다. 서 총장은 “지난 2년 동안 오 이사장이 이사회를 마음대로 좌지우지하면서 오로지 저의 사임만을 강요해 왔다”며 “(7월 임시 이사회의) 합의 내용을 전혀 이행하지 않고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고려해 현 정부 임기 중 후임 총장을 시급히 선임하려고 했다”고 비판했다.

자신의 사퇴 배경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그렇게 하라고(그만두라고) 했다는 얘기를 오 이사장에게 수차례 전해 들었다. 실제 대통령이 그렇게 말했는지 오 이사장이 대통령 이름을 팔았는지 알 수는 없다”고 밝혔다.

지난 2006년 카이스트 총장으로 취임한 서 총장은 교수 정년심사 강화, 연구예산 확대, 학부생 100% 영어강의 등 교수와 학생 사회에 개혁의 바람을 몰고 왔다. 하지만 지난해 학부생들이 잇따라 성적부진 등을 이유로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소통 부재’, ‘독선적 리더십’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여기에 교수 임용과정에서의 특혜 의혹, 특허 도용 논란 등이 불거지며 교수 사회와 불화를 겪기도 했다.

서 총장의 입장 표명에 대해 교수협의회와 총학생회는 “즉각 물러나야 한다”며 반발했다.

경종민 교수협의회장은 “서 총장이 내년 3월로 사퇴 시기를 미룰 수 있는 명분도, 근거도 없다”면서 “지금은 총장이 일을 더 할 때가 아니고 하던 일을 멈추고 떠날 때”라고 말했다.

그는 “서 총장이 부임한 뒤로 건물은 많이 지었는지 모르겠지만 빚이 늘었고, 거짓말이 횡행하고 있다”면서 “개혁을 마치 자신의 전유물인 듯 행세했고, 교수들을 무조건 개혁을 거부하는 집단으로 몰아붙였다”고 비판했다.

KAIST 총학생회도 차기 이사회에서 총장 퇴진이 결정되지 않는다면 총장실 점거 등 강력한 수단을 취한다는 방침이다. 김도한 총학생회장은 “서 총장이 내년 3월을 사퇴 시점으로 미룬 데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해 입장을 밝힐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수현 기자 siempr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