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선원 사망’에 신중… 외교분쟁 우려한 듯

입력 2012-10-17 22:27

중국 선원 ‘고무탄 피격 사망’ 사건에 대한 중국 정부의 태도가 다소 누그러지면서 양국 간 외교적 분쟁 가능성은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중국 외교부 훙레이 대변인은 17일 정례 브리핑에서 “한국이 폭력적인 법 집행을 중단하고 유사 사건 재발을 막기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중국 정부 차원에서 나온 첫 반응이다.

훙 대변인은 “중국은 (한국 정부에) 책임 있는 조사를 통해 사건 원인을 철저히 밝혀내고 관련자를 처벌할 것을 요구했다”며 “중국 외교부와 대사관이 사건 처리 상황을 계속 주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훙 대변인 발언은 주한 중국대사관의 오전 성명 내용보다는 수위가 다소 낮아진 것이다. 중국대사관은 성명에서 “한국 해경의 폭력적인 법 집행이 (중국) 어민 사망을 초래한 것에 대해 한국에 강렬한 불만과 항의의 뜻을 전했다”면서 “엄정하게 사건을 조사해 빨리 중국에 조사와 처리 결과를 통보해 달라고 요구했다”고 밝혔다.

장신썬 주한 중국대사는 안호영 외교통상부 1차관과의 방문면담을 위해 오전부터 우리 외교부와 일정을 조율했으나 오후 늦게 ‘이날은 방문계획이 없다’고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텅안쥔 주(駐)광주 중국 총영사도 오전 목포해경을 방문해 중국 선원들과 2시간 동안 면담한 뒤 강성희 목포해경 서장 등에게 공정한 조사를 촉구했다.

외교가에서는 이런 움직임에 대해 외교적 분쟁으로 비화되는 상황을 원치 않는 중국 정부의 의중이 반영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한편 이번 사건을 수사 중인 목포해경은 오전 삼학도 해경전용 부두로 예인된 노영어호 등 2척의 선원 23명을 상대로 우리 측 배타적 경제수역(EEZ)에서 불법조업 경위와 구체적 단속과정 등을 조사하고 있다.

해경은 숨진 중국 선원 장모(44)씨가 고속단정을 타고 검문검색을 하려는 해경에 톱을 휘두르며 극렬히 저항하다가 마지막 5번째로 발사된 고무탄을 가슴에 맞고 쓰러지는 장면을 담은 5분 분량의 영상을 확보했다.

해경 대원들은 당시 매뉴얼에 따라 먼저 위협사격 차원에서 조타실을 향해 고무탄 1발을 쏜 뒤 중국 선원들 주위 10m 거리에서 추가로 4발을 발사했다.

해경은 붙잡은 중국 선원들에게 해경 대원들에 대한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를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해경은 또 고무탄 피격이 사망의 직접원인으로 작용했는지를 가리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장씨 시신 부검을 의뢰했다.

남혁상 기자, 목포=장선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