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입자금에 초점… ‘다스’ 정조준
입력 2012-10-17 21:42
이광범 특별검사팀의 수사가 ‘내곡동 사저 부지 계약 과정 전반’과 ‘매입 자금 출처’ 부분으로 나뉘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의 아들 시형씨가 땅값으로 조달한 12억원의 출처는 검찰 수사에서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부분이다. 특검팀은 이 대통령의 맏형인 이상은 다스 회장을 사건의 핵심 인물로 지목하고 있다.
◇부지 매입 자금 출처 초점=특검팀은 첫 압수수색 대상으로 시형씨와 이 회장을 택했다. 17일 동시다발적 압수수색으로 부지 매입 관련 자금 흐름과 계약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다수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이 시형씨가 지난해 5월 부지 매입 당시 조달한 12억원의 출처를 파악하는 데 우선 관심을 두고 있음을 보여준다. 시형씨와 주변 인물 계좌추적에 나선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특검은 “통상적 수사에 필요한 과정”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지난 6월 수사결과 발표 때 시형씨가 어머니 김윤옥 여사 소유의 논현동 자택 부지를 담보로 농협 청와대 지점에서 6억원을 대출받고 나머지 6억원은 이 회장에게 차용증을 써주고 빌린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3년차 직장인인 시형씨가 나중에 아버지에게 되팔 부동산을 사기 위해 매월 300여만원의 이자 부담을 감수하고 거액을 빌렸다는 설명은 의문을 남겼다. 특검팀은 압수물 분석 등을 통해 이 회장에게 빌렸다는 6억원이 실제 누구의 돈인지 등을 추적할 계획이다. 이 대통령 부부 소유의 논현동 자택(대지 1023㎡·연면적 328㎡)을 담보로 제공하면 12억원은 은행 대출이 가능한데도 굳이 6억원씩 나눠서 조달한 경위도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특검팀이 6억원 자금 흐름을 쫓다보면 수사가 다스의 자금 운영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검법에는 ‘수사 과정에서 인지된 관련 사건’도 수사 대상으로 규정돼 있다. 한편 특검팀이 서둘러 이 회장 자택과 집무실을 압수수색한 것은 중국으로 나간 이 회장이 오는 24일 예정대로 귀국하도록 압박하는 포석으로도 해석된다.
◇특검팀의 신속 행보 눈길=이 특검은 지난 15일 특검팀 개청식 때 ‘신속한 수사’와 ‘성역 없는 진실 규명’을 공언했다. 이후 수사 개시 첫날 관련자 10여명 출국금지에 이어 이틀째 시형씨와 이 회장에 대한 광범위한 압수수색을 실시하고 자금 추적도 시작했다. 모두 검찰 수사 단계에서 이뤄지지 않았던 것들이다. 검찰은 7개월여간 수사를 벌이면서도 시형씨와 이 회장을 서면으로만 조사하는 데 그쳐 결국 “청와대 해명을 그대로 받아들였다”는 비난을 감수해야 했다.
특검팀 기세로 볼 때 18일 부지 매입 실무를 담당한 전 경호처 직원 김태환씨의 소환을 시작으로 이달 안에 시형씨를 비롯해 검찰 수사에서 제외됐던 청와대 핵심 관계자들의 줄소환도 예상된다. 검찰의 결과 발표 시 “수사 결과를 존중한다”고 했던 청와대는 특검팀의 ‘광속’ 행보에 불만을 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