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내포신도시 ‘공무원 셔틀버스’ 갈등

입력 2012-10-16 22:20

“셔틀버스를 운행해야 한다.” “조기 정착을 위해 운행하지 말아야 한다.”

충남도청사 내포신도시 이전을 80여일 앞둔 16일 현재 대전∼내포신도시 구간 셔틀버스 운행을 둘러싸고 충남도와 도 공무원들 간 갈등이 드러났다.

충남도는 내포신도시가 빠른 시일 내에 안정되게 하기 위해서는 도청 공무원들의 신도시 입주가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판단이다. 따라서 셔틀버스를 운행하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공무원들은 정주여건 등이 마련되지 않아 당분간 이주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보고 있다. 사비(私費)를 들여서라도 셔틀버스를 마련해 운행하겠다고 주장한다.

충남도 공무원들은 도의 셔틀버스 운행 불가 입장이 변함이 없자 현재 행정포털을 이용해 셔틀버스 이용자 수요조사를 벌이고 있다. 행정포털에는 ‘출퇴근 때 소요시간 1시간 30분, 한달 소요경비 20만원 미만, 2∼3곳을 정해 경유한다’는 내용이 게시돼 있다. 현재까지 200여명의 공무원들이 참여할 뜻을 내비치는 상황이다. 공무원들은 이와 함께 노조를 앞세워 도에 셔틀버스 운행을 계속 요구할 방침이다.

공무원노조 관계자는 “노조는 공무원들의 편의를 위해 충남도에 셔틀버스를 운행해 줄 것을 지속적으로 요구할 예정”이라며 “도시 성숙도 중요하지만 다수의 공무원들이 주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간까지는 도가 셔틀버스를 운행해 줘야하는 것 아니냐”고 강조했다.

충남도는 대안으로 ‘5개 시외버스 업체와 대전∼홍성 구간 버스노선 중 일부를 내포신도시를 경유토록 한다’는 내용을 제시하고 공무원들과 협상 중이다. 도는 이달 말까지 협의를 마칠 계획이다. 하지만 버스 업체들은 이용 수요를 알 수 없는 데다 수익성도 불투명해 쉽게 결론을 내리지 못하는 입장이다. 따라서 문제가 쉽게 해결될지는 현재로선 미지수다.

한편 충남도는 11월 말이나 12월 초까지 내포신도시 주변에서 거주할 직원들의 수를 면밀히 파악해 홍성과 예산, 내포신도시 일대를 주행하는 도 소유의 행정용 버스를 운행할 예정이다.

도민들은 이와 관련해 “공무원들이 다소 불편하더라도 도청 이전의 본래 뜻을 살리기 위해 셔틀버스를 운행하지 않는 것이 옳지 않느냐”며 “셔틀버스를 운행할 경우 업무의 집중도도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