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文·安 후보단일화, 범야권 정당띄워 ‘先통합 後단일화’ 거론

입력 2012-10-16 22:01

여야 대선 후보 진영이 정수장학회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남북정상회담 서해 북방한계선(NLL) 발언 논란, 후보 단일화 등 3대 쟁점을 놓고 사활을 건 전쟁을 벌이고 있다. 새누리당은 16일 NLL 문제로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의 사퇴까지 거론하고 나섰고, 민주당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의 ‘아킬레스건’인 정수장학회를 집중 부각시키며 박 후보를 압박하고 있다. 문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 간 단일화 신경전도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 간 단일화 논의가 평행선을 달리는 가운데 야권과 안 후보 주변에서 단일화 방안으로 ‘선(先) 통합, 후(後) 단일화’ 방식이 거론되고 있다. 안 후보 측은 16일 “새 정치가 먼저”라며 여전히 논의 자체를 꺼렸지만 현실적으로 계속 거부할 수만도 없어 고민이 깊어지는 상황이다.

안 후보가 고려할 수 있는 단일화 시나리오는 크게 두 가지로 압축된다. 우선 무소속을 고수한 뒤 문 후보와 경선을 통해 단일화를 완성하는 안이다. 그러나 이 방식을 택할 경우 단일화 경선에서 승리하더라도 무소속이라는 꼬리표를 떼어낼 수 없고, 민주당 지지자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때문에 안 후보와 민주당, 통합진보당 탈당파, 재야세력을 묶어 ‘범야권 통합 정당’을 창당한 후 자연스럽게 후보를 단일화하는 안이 부상하고 있다. 지난해 말 민주당과 ‘혁신과통합’이 모여 민주통합당을 만든 예가 있다. 안 후보 캠프 일각에서 공감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안 후보는 범야권 통합 과정에서 그동안 주장한 정치 쇄신 혹은 정당 개혁을 관철시킬 수 있어 ‘입당’에 대한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당이 기득권을 내려놓아야 하는 등 양측의 갈등이 불가피하다. 안 후보가 통합 정당에 입당할 경우 그를 지지하던 중도 혹은 보수층이 이탈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김효석 전 민주당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단일화 논의보다는 통합 논의로 전환되는 게 좋다”며 “이달 말까지는 안 후보가 정책이나 국정운영 구상을 국민들에게 알리고 다음 달 초 양쪽이 통합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함세웅 신부 등 범야권 원로들로 구성된 ‘희망2013 승리2012 원탁회의’는 다음 주 전체회의를 열어 단일화 방향과 방식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새누리당 김무성 총괄선대본부장은 “단일화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본다”고 견제구를 날렸다. 김 본부장은 국민소통위 회의에서 “안 후보의 조직도 만만치 않아 단일화 협상에 난제가 많다”고 주장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