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포과학공원 살리기’ 범시민운동… 대전 지역 17개 단체·대학교수들 참여
입력 2012-10-15 21:51
“엑스포과학공원을 제대로 살리자”
대전시가 엑스포과학공원에 롯데테마파크를 조성하려 하자 ‘엑스포과학공원 제대로 살리기 범시민대책회의’가 출범했다.
대책회의에는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대전경실련, 공공연구노동조합 등 지역의 17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했고, 최정우 목원대 교수 등 13명의 대학교수로 이뤄진 전문가 자문단이 구성됐다.
대책회의는 최근 성명을 통해 롯데테마파크 조성의 문제점 등을 제기하며 장기적인 발전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책회의는 “과학공원이 본래의 취지는 사라진 채 놀이공원과 대규모 쇼핑센터로 전락할 우려가 크다”며 “시민들의 동의를 얻기 위해서는 좀 더 투명하게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 “수익성과 운영에만 급급할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과학도시 대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엑스포과학공원을 재창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대전시 관계자는 15일 “시민대책회의가 지적한 종합적인 교통대책 마련과 지역소상공인 상권보호, 실질적인 지역민 고용창출 부분에 대해 시도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며 “엑스포재창조사업을 통한 장점은 극대화하고 우려점은 최소화한다는 것이 기본 입장”이라고 밝혔다.
시민대책회의는 앞으로 릴레이 성명발표, 인터넷 카페 운영을 통한 정보공유 및 소통의 장 마련, 교육 및 홍보활동, 시민대안 만들기 등의 활동을 할 예정이다. 또 국정감사와 행정사무감사 등을 통해 적극 문제를 제기하고, 시민합의회의와 시민아이디어 대회 개최, 대시민 홍보전 등의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한편 대전시가 최근 개최한 엑스포과학공원 전문가 토론회에서는 롯데복합테파크 조성에 대한 각 분야의 우려점이 구체적으로 제시됐다. 전문가들은 대전시와 롯데의 계획을 정면으로 비판했으며, 특히 교통수요 유발에 따른 정확한 분담금 산정 및 부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롯데복합테마파크의 고용창출이나 생산 등 지역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크지 않고 오히려 대규모 상업시설로 인한 지역 유통업계에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는 지적도 나왔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