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청사 ‘뒤늦은’ 검색 강화

입력 2012-10-15 21:59

외부 침입에 3중 보안망이 뚫렸던 정부중앙청사가 뒤늦게 경계 강화에 나섰다. 국회 등 다른 국가기관도 출입자 확인을 강화하는 분위기다.

15일 오전 서울 세종로 청사 외부 출입구에서는 경찰이 출입증 패용 여부, 사진과 본인 일치 여부를 일일이 확인하고 있었다. 청사 내부 2단계 X선 보안검색대에서는 경찰과 방호원들이, 최종 단계인 스피드게이트에서는 방호원 2명이 출입하는 직원과 방문객을 꼼꼼히 살폈다. 스캔용 바코드가 없는 출입증 소지자는 방호원들이 일일이 얼굴을 대조하고 입장시켰다. 오전 10시에는 스피드게이트 출입구에 ‘출입증을 꼭 패용해 청사 안전관리에 동참합시다’란 팻말이 세워졌다. 청사 후문 경비도 평소 전경에서 정복 경찰로 바뀌어 배치됐다. 청사를 출입하는 직원들도 달라진 모습에 놀랐다. 박모(34)씨는 “평소 출입증만 있으면 X선 검색은 생략했는데 오늘은 다 했다”고 말했다.

외부 방문객은 깐깐한 확인 절차를 거쳐야 했다. 김모(53)씨는 사전 방문 예약이 안 돼 15분간 담당 부서 확인 절차를 거친 뒤에야 방문증을 받았다. 안내데스크 담당자는 “평소에도 사전 예약 없이 부서 방문은 불가능하다”며 “담당자가 직접 와서 확인하고 동행하지 않으면 출입할 수 없다”고 말했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말까지 정부중앙청사의 모든 출입구에 자동인식 출입 시스템(스피드게이트)을 설치하고, 보안검색대를 24시간 운영해 위험물 반입을 원천 차단키로 했다. 아울러 정부청사 방문자는 담당 공무원이 직접 로비까지 내려와 데려가도록 할 계획이다.

한편 서울 종로경찰서는 청사에서 투신해 사망한 김모(61)씨가 지난 8월 24일 인터넷의 한 문서양식 전문 사이트에서 9900원을 결제한 사실을 확인하고 출입증 위조와의 관련성을 조사 중이다. 검찰은 김씨에 대한 정확한 사인 규명을 위해 16일 오전 사체를 부검하기로 했다.

신상목 기자 sm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