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온실가스 배출량 2배 줄여야… 정부, 377개 기업 목표치 통보

입력 2012-10-15 21:54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산업·발전 부문 377개 기업을 대상으로 내년도 감축 목표치를 확정해 통보했다. 의무 감축제 시행 첫해인 올해보다 2배 이상 늘린 1720만tCO₂(이산화탄소톤·배출량 환산 단위)으로 감축 목표를 확대했다.

지식경제부는 15일 2013년 온실가스 예상 배출량이 5억7060만tCO₂으로 집계됐으며 이 가운데 배출 허용량은 5억5340만tCO₂이어서 국가 배출량의 96.8%를 차지하는 산업과 발전 분야에서만 1720만tCO₂을 줄여야 한다고 밝혔다.

지경부는 이명박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2020년까지 온실가스를 30% 줄이기 위해 지난해부터 기업들과 사전 협의를 통해 감축 목표를 정하고 있다.

산업 분야에선 화석연료를 많이 쓰는 철강 시멘트 석유화학 업종이 대대적 의무 감축량을 할당받았다. 포스코가 248만tCO₂으로 1위였고, 삼성전자도 21만6000tCO₂을 줄여야 해 10위에 랭크됐다(표 참조). 이들 상위 10개 기업이 산업 부문 감축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3.7%다. 규모별로는 대기업이 전체 감축량의 98%를 할당받았고 중소기업은 2%뿐이다.

발전 분야는 산업 부문보다 이산화탄소를 더 배출하지만 국가 전력 수요에 따른 별도 관리 필요성이 인정돼 2014년부터 회사별 감축 총량이 부여될 예정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산업 분야 목표치만 달성해도 서울 시민의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의 20%를 줄이는 효과가 난다”면서 “2015년 배출권거래제가 전면 도입되는 만큼 기업들도 온실가스 감축을 규제가 아닌 생존 전략으로 받아들여야 할 때”라고 말했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온실가스 배출 증가율(118.6%) 분야 1위라는 불명예를 차지한 처지여서 더는 관련 규제를 늦출 수 없는 상황이다.

포스코는 글로벌 철강업계의 선두주자답게 공정에서 발생하는 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해내는 방법을 개발해 활용 중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기업 회계에서 탄소 감축 효과를 병기하는 탄소관리 회계도 도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삼성도 내년까지 2008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인다는 목표를 수립해 실천하고 있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