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지역 공무원 비리 도 넘었다

입력 2012-10-15 18:47


광주·전남지역 공무원들의 비리가 잇따르고 있다. 지자체 행정직뿐 아니라 경찰관과 교육공무원까지 ‘세금 빼먹기’에 혈안이 돼 있다.

전남 여수시는 15일 “회계업무 과정에서 거액의 공금을 빼돌린 회계과 김모(47)씨가 12일 광주지검 순천지청에 구속됐다”고 밝혔다.

김씨는 동료 직원 1700여명의 급여 담당으로 최근 3년간 소득공제 원천징수액 가운데 국세청에 입금해야 될 세금 등 29억원을 자신이 개설한 가상계좌를 통해 가로채온 의혹이 불거져 최근 검찰 수사와 함께 감사원 감사를 받아왔다.

통상 2명이 업무를 분담하는 다른 지자체와 달리 소득공제액 원천징수와 국세청 납부를 동시에 맡은 김씨는 연말정산 확정이 나중에 이뤄져 동료들의 관심이 소홀하다는 점을 악용했다.

완도군 공무원 A씨(37·여)도 김씨와 유사한 수법으로 최근 2년간 공금 5억여원을 빼돌린 사실이 불거져 감사원의 감사를 받고 있다. A씨는 세입·세출 외 현금 업무를 하면서 ‘도장’ 하나로 전결이 가능한 전산자료를 조작해 사업계약 보증금, 직원 소득세 등을 중간에서 착복한 것으로 밝혀졌다.

김씨와 A씨의 비리는 해당 지자체와 국세청 신고내역이 다른 점을 수상히 여긴 감사원의 조사결과 들통 났다.

회계·경리 담당 공무원들의 비리는 경찰도 예외가 아니다.

경찰청 진도수련원 관리업무를 담당한 진도경찰서 B모 경위는 지난달 기름 구입비 등 2억여원의 공금을 유용한 사실이 드러나 대기발령 됐다. 장성경찰서 C모 경사는 동료 경찰관들의 건강보험료에서 1억여원을 착복해 주식투자에 사용한 정황이 드러나 감찰 조사가 진행 중이다.

앞서 지난 7월에는 여수경찰서 간부가 불법 사채업에 투자해 수천만 원의 이자를 챙긴 혐의로 구속되는 등 경찰관들의 해이한 복무기강과 도덕불감증이 도마에 오르고 있다.

광주·전남지역 832명의 교사들도 최근 5년간 시간외근무와 육아휴직 수당을 허위로 청구하거나 하지도 않은 방과후수업 수당을 받는 등 7억5000만원을 부당하게 챙겨 온 것으로 드러났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