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장학회 논란] 朴 “부마항쟁 유가족 깊은 위로”… 다시 대통합 행보
입력 2012-10-15 10:33
새누리당 박근혜 대통령 후보가 15일 ‘부마민주항쟁’ 희생자들을 위로하며 대통합 행보를 재개했다. 16일에는 국민대통합위원장을 직접 맡은 뒤 첫 행보로 국립 4·19민주묘지를 방문해 헌법에 명시된 민주정신 계승의지를 피력할 계획이다. 그러나 박 후보는 논란이 커지고 있는 정수장학회의 언론사 지분 매각 문제는 자신과 무관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박 후보는 경남 창원 마산올림픽기념관에서 부마민주항쟁 33주년을 하루 앞두고 열린 경남도당 선대위 출범식에 참석해 “민주화를 위해 희생하고 피해를 입으신 가족들에게 깊은 위로를 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 정리가 안 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해 저와 새누리당이 최선을 다하겠다”며 “구체적인 것은 국민대통합위원들과 논의해서 하겠다”고 밝혔다.
박 후보는 과거사 문제와 관련해 “산업화 세대와 민주화 세대의 갈등과 차이는 해소되지 않고 있고 과거 어느 정권도 이를 치유하지 못했다”며 “야당은 그런 국민을 또 나누고 있는데 이제 그런 정치를 끝내고 각자의 처지를 인정하고 상처를 보듬는 공감의 정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마민주항쟁은 박정희 유신독재에 반대해 1979년 10월 16일 부산대를 시작으로 부산과 마산 지역에서 일어난 대규모 반정부 시위다. 당시 정부는 부산에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마산 등에 위수령을 발동하며 강경 대응했지만 열흘 만에 박 대통령이 암살되면서 막을 내렸다. 박 후보의 사과는 아버지 시절의 공과(功過) 중 ‘과’를 정리하고 과거사 문제를 하나씩 풀어가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박 후보는 16일 한광옥 수석부위원장을 비롯한 국민대통합위원들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서울 수유리 4·19민주묘지도 찾는다. 한 부위원장은 여의도 당사 앞에서 장준하 선생 의문사 진상규명을 요구한 시위대를 찾기도 했다. 동교동계와 상도동계 전직 의원 20명은 새누리당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유신에 반대하고 격렬하게 투쟁했던 우리는 대한민국의 미래와 국민대통합을 위해 박 후보 지지를 선언한다”고 밝히며 입당했다.
박 후보는 하지만 정수장학회는 풀어야 할 ‘과거사’ 대상에 포함돼 있지 않다는 기존 인식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 그는 2004년 한나라당 대표 시절 열린우리당이 정수장학회 이사장 직위를 문제 삼을 때부터 이를 정치공세라고 판단해 왔다. 특히 2005년 2월 장학회 이사장 사퇴 이후엔 일절 관여를 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언론 인터뷰를 통해 이사진의 결단을 촉구한 만큼 더 이상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은 없다는 입장이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