뻥 뚫린 정부청사… ‘인화물질 배낭’ 보안검색 통과
입력 2012-10-15 01:00
정신과 치료를 받던 60대 남성이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 들어가 불을 지르고 투신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 남성은 인화물질이 든 배낭을 메고 청사 후문과 내부 보안검색까지 아무 제지 없이 통과해 정부청사의 보안 시스템에 심각한 허점이 드러났다.
경찰과 소방 당국에 따르면 14일 오후 1시30분쯤 정부중앙청사 18층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정보기획과 사무실에서 김모(61)씨가 불을 지른 뒤 창문 밖으로 뛰어내려 숨졌다. 불은 사무실에 있던 책상과 서류, 의자, 컴퓨터 모니터 등을 태웠으나 출근해 있던 직원들이 소화기로 곧바로 진압해 6분 만에 꺼졌다. 김씨는 투신 당시 청사 출입증과 비슷한 형태의 신분증을 목에 걸고 있었다. 그러나 이 출입증은 사진과 이름만 있는 가짜였고, 김씨는 청사 직원도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에 따르면 김씨는 이날 오후 1시15분쯤 청사 후문을 통해 들어와 18층 사무실까지 올라갔다. 이후 배낭에 담아온 생수통에서 휘발유나 시너로 추정되는 인화물질을 꺼낸 뒤 책상에 있던 서류뭉치를 모아 불을 붙였다. 이어 당직근무 중이던 직원 2명을 향해 “대피하세요, 대피하세요”라고 외쳤고 소리를 듣고 달려온 다른 부서 직원들이 소화기로 불길을 잡았다. 직원들이 왔을 때 김씨는 투신한 뒤였다.
경찰은 김씨의 소지품에서 정신병 처방 약봉지 등이 발견됨에 따라 김씨의 담당 의사로부터 정확한 병력 등을 조사 중이다. 종로경찰서 관계자는 “김씨에게 유서는 없었으며 소지품에서 경기도 성남의 정신병원에서 처방한 수면제와 신경안정제 약봉지가 나왔다”고 밝혔다. 김씨는 지난 2001년 다니던 은행에서 명예퇴직한 뒤 우울증 등으로 장기간 치료받아 왔고, 아파트 경비원 지원 이력서에 ‘공무원 출신’이라고 써넣는 등 공무원에 대한 망상 증세를 보이며 죽고 싶다는 얘기도 자주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휴일인 탓에 정부청사 보안 시스템은 먹통이었다. 김씨가 목에 걸었던 출입증이 유사출입증인데도 청사 외부 후문을 지키던 의경은 육안으로 대충 확인한 뒤 통과시켰다. 이어 2단계로 청사 내부에는 금속 등을 탐지하는 검색대가 있었으나 주말에는 운영을 하지 않고 전원을 꺼놓은 상태여서 무사통과했다. 3단계로 카드를 찍으면 열리는 스피드게이트도 주말이어서 그냥 열릴 수 있도록 해놓고 방호원이 휴대용 스캐너를 들고 근무 중이었다. 방호원은 김씨가 스피드게이트를 밀고 들어오자 ‘어디 찾아왔느냐’고 물은 뒤 유사신분증을 보고 그냥 통과시켰다. 청사의 3중 보안 시스템이 모두 작동하지 않은 셈이다.
청사 관계자는 “평소에도 공무원들이 스피드게이트 스캔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고 불평해 스캔 대신 출입증만 슬쩍 제시하고 출입하는 경우가 흔했다”고 경찰에서 진술했다. 김씨는 우울증과 가정불화로 가족과 별거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김씨가 정부중앙청사까지 와서 불을 지른 이유 등을 조사하고 있다.
신상목 기자 sm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