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장학회 공방] 최필립 “함정에 넣으려는 공작정치”

입력 2012-10-14 22:07

정수장학회는 MBC 지분 매각을 놓고 MBC와 논의한 사실이 드러나자 크게 난감해하고 있다.

우선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은 “나를 함정에 넣으려는 공작정치의 시나리오”라며 비공개 회동 및 논의 내용이 외부로 유출된 것에 당혹해하는 모습이다. 정수장학회 측은 녹취록 존재 여부를 비롯해 지분 매각 논란을 둘러싼 모든 의혹은 MBC에서 해명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수장학회는 장학회 측이 지분 매각 대금으로 부산·경남 지역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위한 선심성 복지사업을 하려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부인하고 있다. 일부 언론은 지난 12일 정수장학회가 부산일보 지분 100%와 MBC 지분 30%를 매각한 돈으로 부산·경남 지역 대학생 및 노인층 등을 위한 대규모 복지사업을 계획 중이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MBC는 보도자료를 통해 “정수장학회는 부산일보 매각 대금을 부산·경남 지역의 사회적 약자들을 위해 써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지만, MBC 지분 30%는 매각 대금의 이자 200억∼300억원을 전국의 대학생 반값 등록금으로 사용하는 것을 검토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며 정수장학회 지분 매각 대금의 ‘정치적 사용’은 없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비공개 회동 내용이 언론에 기사화된 것을 두고 도청 의혹도 불거지고 있다. 지난 8일 서울 정동 정수장학회 사무실에서 이뤄진 회동엔 최 이사장과 MBC의 이진숙 기획홍보본부장, 이상옥 전략기획부장이 참석했다. MBC는 “회의 현장에 있지 않고는 파악하기 힘든 내용이 들어 있다”며 경찰 수사 의뢰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MBC 경영진은 앞서 회동 사실이 보도된 당일 밤 긴급회의를 열고 회동 내용 유출 경위 및 대응 방안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수장학회는 부산지역 기업인 김지태(1982년 사망)씨가 1962년 부정축재법 위반으로 사법처리되면서 그가 소유하던 MBC와 부산일보 주식, 토지 33만여㎡(약 10만평) 등을 국가가 강제 기부받아 설립된 단체다. 그해 부일장학회로 설립됐다 명칭을 바꿨으며 이후 박 후보를 비롯한 박정희 전 대통령 측근들이 관리해 왔다.

박지훈 기자 lucidfal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