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민주당 “대화록 거짓땐 朴책임져야”-새누리 “국조거부땐 자체 진상규명”
입력 2012-10-15 00:58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당시의 ‘비공개 대화록’ 의혹을 둘러싼 여야 공방이 갈수록 격화되고 있다. 처음 문제가 제기될 때에는 수세적 입장이던 민주통합당이 공세로 전환해 ‘박근혜 책임론’을 제기하고 나섰고, 새누리당은 “민주당이 ‘대화록 국정조사’를 계속 거부하면 자체 진상 규명에 나서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민주당은 문 후보 캠프의 실세 3인방인 박영선·이인영 공동선대위원장과 노영민 후보 비서실장이 14일 영등포 당사에서 합동으로 기자간담회를 열어 새누리당 주장을 반박했다. 이 위원장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포기했다는 새누리당 정문헌 의원 주장은 국기를 흔드는 것”이라며 “주장의 근거와 자료 입수 경위를 밝히라”고 촉구했다. 이 위원장은 특히 “우리 당 문재인 후보가 정 의원 주장이 사실이면 책임진다고 했으니 이제 박근혜 후보도 정 의원 주장이 거짓이면 책임질 것을 천명하라”고 강조했다.
노 비서실장은 “노 전 대통령은 NLL을 기점으로 남북 간 등거리에 공동어로구역을 설치하는 제안을 통해 NLL이 남북 간 논의의 기선임을 분명히 했다”며 “NLL을 지켜낸 성과를 마치 포기한 것처럼 얘기하는 것은 어처구니없는 주장”이라고 비난했다.
그러나 새누리당은 여의도 당사에서 ‘민주당 정부의 영토주권 포기 등 대북 게이트 진상조사특위’ 2차 회의를 열고 “NLL 포기 발언은 즉흥적으로 나온 게 아니라 노무현 정부가 연구를 많이 해서 작심해서 했던 말”이라고 밝혔다. 이철우 원내대변인은 당시 국가안보전략연구소가 청와대 지시를 받고 보고서를 만들어 청와대가 회의까지 했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회의에 당시 문재인 청와대 비서실장과 김만복 국정원장이 참석했다”면서 “문 후보가 정상회담추진위원장 역할도 했으니 이제 본인이 아는 얘기부터 밝히고 책임질 것은 책임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손병호 유성열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