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만능줄기세포로 만든 심장근육 이식 성공… 美 연구팀 30대 남자에 수술

입력 2012-10-11 18:48

유도만능줄기세포(iPS 세포)로 만든 심장 근육 세포를 사람에게 직접 이식하는 수술이 일본인 연구자가 포함된 미국 하버드대학 연구팀에서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11일 보도했다. 지난 9일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일본의 야마나카 신야(山中伸彌) 교토대 교수가 쥐를 활용해 유도만능줄기 세포를 개발한 지 6년 만에 사람에 적용된 것이다.

하버드대 연구팀이 심근 세포 이식 수술을 실시한 1호 환자는 34세의 미국인 남성이다. 그는 올해 2월 심장 기능이 약화되는 ‘허혈성 심근증’이 발병해 연구팀이 iPS로 심근을 만들어 이식하는 수술을 결정했다.

연구팀은 이 남성의 간에서 간 세포로 변화하기 직전의 세포를 적출, 세포증식에 관여하는 단백질과 약제를 첨가해 iPS 세포를 만들었고, 이를 심근 세포로 변화시켜 냉각장치를 활용한 환경에서 대량 증식했다.

이 남성은 심장 바이패스 수술을 받은 후 특수 주사기로 심근 세포를 심장의 약 30곳에 주입받았다. 환자 자신의 세포로 만들었기 때문에 부작용은 없었고, 수술을 받은 약 10일 후부터 거의 정상을 회복해 현재 평상시처럼 생활하고 있다.

iPS 세포로 임상 실험을 할 경우 장래 암으로 전이하지 않는다는 안전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연구팀은 돼지 실험을 통해 안전성을 확인했으며, 하버드대학의 윤리위원회로부터 수술의 윤리문제와 관련한 잠정 승인도 받았다. 요미우리신문은 “하버드대 연구팀이 동물실험에 머물던 연구를 사람을 대상으로 진전시켜 iPS 실용화에 큰 전기를 맞았다”고 평가했다. 신문은 그러나 iPS 세포의 실용화와 인체 치료 실현을 위해서는 활용 절차와 안전성의 확인, 윤리적 문제 등 극복해야 할 과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김지방 기자 fatty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