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빅3, 유통시장 삼켰다

입력 2012-10-10 21:42


대형마트 3사의 유통시장 점유율이 지난해 9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뒷짐 지고 있는 사이 대형마트가 유통시장을 장악해 중소유통업체와 전통시장, 골목상권이 설 자리가 없어졌다. 정부는 뒤늦게 대형마트 의무휴업·거리제한 등 각종 정책을 쏟아냈지만 이미 공룡이 된 대형마트엔 전혀 먹혀들지 않는 셈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주통합당 정호준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10일 제출받은 ‘대형마트 매출액 및 점유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의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백화점을 제외한 전체 유통업의 88.8%를 차지했다. 이들 대형마트 3사의 2005년 점유율은 55.2%에 그쳤다. 대형마트들이 7년 만에 유통채널을 사실상 완전히 장악한 셈이다. 이마트는 2005년 점유율 27.9%에서 지난해 38%로 늘었고, 홈플러스는 같은 기간 15.1%에서 32%로, 롯데마트는 12%에서 18%로 성장했다.

대형마트 3사의 매출액도 2005년 13조830억원에서 지난해 32조7000억원으로 배 이상 급증했다. 특히 홈플러스 매출액은 2005년 3조5680억원에서 지난해 11조8000억원으로 3배 이상 늘었다.

정 의원은 “정부가 대형마트와 관련한 여러 대책을 내놨지만 실효성이 없었다는 것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수치”라며 “대형마트가 골목상권을 초토화한 데 이어 이제는 중소유통업체가 설 땅마저 완전 잠식했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또 “대형마트들이 사업의 안정기에 접어들면서 납품단가 후려치기, 불합리한 가격결정 등 각종 불공정 행위로 영업이익을 확대하는 게 아닌지 의심스럽다”며 “공정거래당국은 무차별적으로 확장 중인 대형유통업체들에 대해 지속적인 감시와 현장 직권조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대형유통업체가 중소납품업체의 ‘슈퍼 갑(甲)’으로 군림하면서 불공정 거래 위험이 높아져 동반성장 차원에서 감시하고 있지만 이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며 “규제정책 보완과 인허가 조치 등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공정위는 최근 백화점과 대형마트를 대상으로 판매수수료 인하를 요구하고 있으며, 대형유통업체 조사 전담조직을 만들어 내년부터 가동하기로 했다. 한편 대형마트 측은 지난 6월 법원에 영업규제 조례에 대한 가처분 신청을 제기한 데 이어 이번 달 들어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의무휴업 조치 취소 소송까지 제기한 상태다.

이사야 기자 Isaia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