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위기관리재단 세미나 “추방위기 선교사 돕는 전문인력 필요하다”
입력 2012-10-10 18:27
추방 위기에 처한 선교사들을 지원하는 교계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위기관리재단(KCMS)은 9∼10일 경기도 성남시 야탑동 할렐루야교회(김승욱 목사)에서 개최한 ‘추방·긴급철수 선교사 위기관리’ 세미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추방 선교사들에 대한 현황과 대책을 발표했다.
KCMS의 조사 및 분석에 따르면 현재 선교사 활동을 제한하는 국가는 30여개국이다. 하지만 선교사 추방이 이뤄지는 나라는 120여개국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에 대해 김진대 KCMS 사무총장은 “한국 선교사들의 수적 증가와 함께 선교지에서 발생하는 사건·사고도 증가 추세에 있다”면서 “특히 2007년 아프간 단기 선교팀 피랍 사태 이후 중국 튀니지 모로코 몽골 베트남 등에서 선교사를 추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총장은 이어 “추방 위기에 노출된 선교사들은 정신적, 재산적으로 큰 피해를 받을 수밖에 없다”면서 “이들을 상담해줄 수 있는 전문 상담사와 선교지 재산 문제 해결을 위한 법률 전문가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2009년도 국회 외교통상위 자료에 따르면 최근 4년간 선교활동 중 추방된 한국인은 121명, 현지에서 구속된 국민은 37명이었다. 이 같은 조치를 취한 국가는 이슬람권 국가가 대부분이었다. 이들 국가 중 가장 많은 사람을 추방하거나 구속한 나라는 예멘(56명)이었다. 이어 이란(38명) 요르단(6명) 타지키스탄(5명) 등 순으로 나타났다. 추방 이유로는 종교법 위반을 비롯해 비자법 위반, 정치·사회·문화적 요인 등이었다. 단기팀 사역에 따른 현지 국가의 피해 요인도 꼽혔다.
할렐루야교회 선교부와 공동 주최로 열린 이번 세미나에서는 선교사들의 추방 위기 경험 사례 발표를 비롯해 선교사 위기관리에 대한 강의, 이슬람권 선교 대책, 선교 현장의 응급처치법 강의도 이뤄졌다.
또 선교사 추방 및 긴급철수 관련 재외국민 보호 대책에 대한 외교통상부의 특강도 마련됐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