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김정일 비공개 대화록 있나 없나… 前-現 정부 세력 ‘격돌’
입력 2012-10-10 21:52
‘노무현·김정일 비공개 대화록’ 존재 여부를 둘러싸고 전·현 정부 집권세력이 격돌하는 양상이다. 현 정권 여당인 새누리당이 국회 국정조사를 촉구하자 노무현 정부 시절 여당이었던 민주통합당은 “존재하지 않는 대화록을 어떻게 조사하느냐”고 강력 반발했다.
새누리당 이한구 원내대표는 10일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정문헌 의원이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국감에서 공개한 2007년 10월 남북 정상회담 때 노무현-김정일 대화 내용은 국기를 문란케 하는 엄청난 사건”이라며 국정조사 실시와 당내 진상조사특위 구성, 국회 정보위 긴급소집 방침 등을 피력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를 ‘대북 게이트’로 규정했다. 대북게이트진상조사특위 위원장에는 4선의 송광호 의원이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원내대표는 민주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를 겨냥해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으로 녹취록 존재를 인지했을 것”이라며 “그때 어떤 역할을 했는지, 지금 입장은 무엇인지 설명해야 한다”고 공격했다.
반면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TV 방송에 출연해 “내가 알기로 (노 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단독회담은 없었고 그런 녹취록도 없다”면서 “(대화록이) 존재하지도 않는데 국정조사를 어떻게 하느냐”고 반박했다. 김현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지지율이 곤두박질치는 새누리당 박근혜 대통령 후보의 초조함을 감추려는 대선용 정쟁 시도”라며 “색깔론을 부추기려는 정략”이라고 비판했다.
2007년 남북 정상회담 공식 수행단이었던 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과 김만복 전 국정원장, 백종천 전 청와대 안보실장 등은 기자회견을 갖고 “남북 정상 사이에 어떠한 별도의 단독회담도, 비밀 합의도 없었으며 ‘비밀 녹취록’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면서 “노 전 대통령이 북방한계선(NLL)을 없애겠다고 말했다는 2007년 10월 3일 오후 3시는 양측 대표단 회담이 한창 진행되던 시간”이라고 밝혔다.
청와대는 대화록 존재 여부에 대해 언급을 자제하며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았다. 외교안보라인 관계자는 “나는 (대화록에 대해) 듣지 못했다. 그렇다고 없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신창호 유동근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