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김정일 정상회담 면담록 파문 “두차례 회담서 공동어로수역 논의”

입력 2012-10-10 04:05

노무현 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은 2007년 10월 남북정상회담 기간 중 두 차례 회담했다. 10월 3일 오전에 2시간11분, 오후에 1시간40분 동안 진행됐다.

노 전 대통령과 김 전 위원장이 별도의 단독 회담은 하지 않았다는 게 노무현 정부 고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우리 측 배석자는 모두 4명으로 권오규 경제부총리, 이재정 통일부 장관, 김만복 국가정보원장,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이었다. 조명균 청와대 외교안보정책조정비서관은 기록을 위해 별도로 회담 뒷좌석에 앉았다. 우리 측 기록은 조 비서관이 담당했고, 북측은 기록요원이 따로 없었다. 당시 정상회담에 배석했던 참여정부 고위관계자는 9일 “북측이 회담 내용을 녹화하고 녹음한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그러나 정상회담 이후 북측으로부터 별도의 녹취록이나 면담록을 전달받은 사실은 없다”고 말했다. 면담록은 노무현 정부에서 2부가 작성됐고, 이는 이명박 정부로 ‘인수인계’된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 정문헌 의원이 8일 국정감사에서 폭로한 ‘비공개 대화록’이 이 면담록인지 아니면 별도 루트로 작성된 대화록인지는 불분명하다. 정상회담에 참석했던 노무현 정부 관계자들은 “비공개 대화를 나눈 사실 자체가 없기 때문에 비공개 대화록이 존재할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특히 노 전 대통령이 “NLL 때문에 골치 아프다. 미국이 땅따먹기 하려고 제멋대로 그은 선이다”라고 말했다는 정 의원의 주장은 ‘소설’이라는 주장이다. 고위관계자는 “면담록을 확인하면 바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 이명박 정부 고위인사들도 면담록 내용을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때문에 국회 국정조사가 이뤄질 경우 이 면담록 공개 여부와 비공개 대화록의 존재 여부가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남북정상회담 배석자들에 따르면 10월 3일 두 차례의 정상회담은 노 전 대통령이 주로 제안하고, 김 전 위원장이 이에 응답하는 식이었다. 북방한계선(NLL) 문제와 관련해서도 NLL을 인정할 것인지와 같은 민감한 내용은 피하는 대신 공동어로수역 설정 문제 위주로 논의됐다. 노 전 대통령은 공동어로수역을 설치할 경우 남북한에 어떤 이익이 있는지를 자세히 설명했다. 노 전 대통령은 또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종전선언 문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미국 부시 대통령을 언급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회담에 배석했던 한 관계자는 “노 전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 직전인 9월 호주에서의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내용을 소개하면서 한반도 종전선언을 제안했고, 종전선언 적극 추진은 10·4 선언에 담겼다”고 전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