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국정감사] 금감원 국감도 대선 후보 검증장 방불

입력 2012-10-09 19:15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9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는 주요 대선후보들에 대한 검증의 장으로 변질됐다. 하지만 의혹에 답변해야 할 증인들이 대부분 불출석하면서 알맹이 없는 공방만 오갔다.

야당은 박영우 대유신소재 회장의 스마트저축은행 부당지원·내부자거래 의혹을 집중 제기했다. 박 회장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의 조카사위다. 민주통합당 김기준 의원은 “최근 박 회장과 스마트저축은행 사이의 수상한 부동산 임대차 계약 정보를 확인했다”며 조사를 촉구했다. 같은 당 김영주 의원은 “박 후보의 올케인 서향희씨가 사외이사로 있는 신우는 적자전환 공시를 하기 전에 회장이 주식을 대량 매도해 불공정거래 혐의로 검찰에 기소됐는데 대유신소재 사건도 유사한 것”이라며 “금감원이 신속히 조사해 국민적 의혹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맞서 여당은 민주당 문재인 후보의 부산저축은행 청탁 의혹, 무소속 안철수 후보의 안랩 신주인수권부사채(BW) 헐값 인수 의혹 등을 잇달아 내놓았다. 새누리당 조원진 박민식 의원은 법무법인 부산의 대표변호사를 지낸 문 후보가 부산저축은행으로부터 퇴출 면제 청탁을 받아 사건을 수임한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조 의원은 “청와대 민정수석이 일면식도 없는 금감원의 저축은행 사건 담당 국장에게 전화를 걸어 신중하게 처리해 달라고 했었다”며 “이때 압력을 받지 않을 사람이 누가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유일하게 증인으로 출석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조카사위 정재성 변호사는 이런 청탁 의혹을 일축했다. 정 변호사는 “당시 사건은 건당 수임료가 10만원이고 4년에 걸쳐 4만건 넘게 진행되다 보니 59억원이 된 것”이라며 “문 후보는 당시 청와대에 들어가면서 법무법인 부산을 탈퇴해 무관한 상태였다”고 해명했다. 새누리당의 질의와 관련해 민주당 이종걸 의원이 “수임 당시 문 후보가 변호사가 아니라서 법무법인 부산과는 관계가 없었는데 왜 문제를 삼는다고 생각하느냐”고 묻자 정 변호사는 “정치공세로 생각한다”고 짧게 답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