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국정감사] ‘안철수 뒷조사’ 전화 통화 육성 그대로 첫 공개
입력 2012-10-09 22:09
행안위 경찰청 국감
경찰이 무소속 안철수 대선후보의 뒷조사를 했다는 의혹이 다시 제기됐다.
9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찰청 국정감사에서 민주통합당 진선민 의원은 김성근 경찰교육원장과 기자 간의 통화 녹취록을 공개하며 “경찰이 안 후보를 사찰했다”고 주장했다. 이 녹취록은 지난달 12일 이미 공개됐지만 당사자들의 육성이 그대로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녹취록엔 “안 원장이 룸살롱에 드나든다고 해서 추적을 해본 적이 있다”라고 말한 김 원장의 육성이 녹음돼 있었다. 이에 대해 김 원장은 “바쁜 시간에 전화가 와서 빨리 끊어야겠다고 생각했다”며 “그런 적이 없다는 취지로 강조하다 보니 과장해서 말한 것이지 실제 조사한 것은 없다”고 거듭 부인했다. 진 의원이 다시 “조사를 하지 않았는데 어떻게 알고 그런 말을 했느냐” 묻자 김 원장은 “소문을 들었다”고 답했다. 하지만 소문의 출처에 대해선 명확하게 대답하지 못했다. 김기용 경찰청장은 “경찰의 공식 경로를 통해 확인한 결과 안 원장을 뒷조사한 사실이 없다”고 답했다.
김 원장의 ‘초고속 승진’에 대한 의혹도 제기됐다. 김 원장은 서울경찰청 정보부장, 경찰청 정보국장 등 정보라인 요직을 거쳐 경찰교육원장으로 보직 이동한 상태다. 진 의원은 “경찰 정보를 정치적으로 이용한 정권 차원의 보은인사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성범죄와 ‘묻지마’ 범죄 등 최근 잇따른 강력범죄에 대한 경찰의 부실대응도 도마에 올랐다.
민주당 유대운 의원은 “경찰이 법무부로부터 전자발찌 정보를 제출받는 데 6일이나 걸린다는 것이 말이 되는 소리인가”라며 따져 물었다. 같은 당 이찬열 의원은 “‘서진환 사건’도 DNA 관리가 잘됐다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며 “검경과 국과수가 범죄자 DNA 정보 연계 강화 방안을 마련했지만 시스템 통합이나 실시간 연계와는 여전히 거리가 멀다”고 지적했다.
의원들은 ‘SJM 용역폭력 사태’에 대한 경찰의 부실대응 문제도 강하게 질타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SJM 사태 당시 112신고 녹음파일을 제출하라고 경찰에 요구했지만 김 청장은 “신고자 신원이 노출될 위험이 있다”며 거부했다. 민주당 김현 의원은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가 나가면 경찰 이미지가 실추되고 누군가가 책임져야 하기 때문에 녹음파일을 주지 않는 것 아니냐”고 질타했다.
경북 구미의 불산가스 누출 사고와 관련한 문제 제기도 잇따랐다. 민주당 김민기 의원은 “가스 폭발 같은 대형 사건이라면 현장 출동 경찰관들이 매뉴얼에 맞춰 대응을 했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