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거환경정비 5개 생활권역 추진… 市 기본계획 수립 착수

입력 2012-10-09 22:32

서울시가 주거지 관리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면 철거나 아파트 건설 등 물리적 주거환경 개선 중심에서 사회·경제·문화·환경재생 등을 고려한 생활권 단위 종합계획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서울을 동북·도심·서북·동남·서남권 등 5개 생활권역으로 나눠 주거환경 정비를 추진하는 내용의 ‘2020 서울시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라고 9일 밝혔다.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라 서울시장이 10년 단위로 수립하는 주거지 정비에 대한 기본이 되는 법정 계획이다.

시는 우선 시범 추진 중인 서남권 주거종합관리계획을 가구구조 변화, 저성장·고령화 등 미래 사회변화를 반영해 지속가능한 계획이 되도록 할 방침이다. 나머지 4개 권역도 다음달 중 용역업체를 선정해 이 같은 방향으로 추진키로 했다.

시는 또 주거환경의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 지속성을 나타내는 국제 수준의 ‘주거환경평가지표’와 기존 주거지 정비가 얼마나 필요한지를 나타내는 ‘정비지수’를 도입하기로 했다.

정비지수는 생활권별로 주거환경 자료를 기본자료로 설정해 호수 밀도, 노후도 등 물리적 환경요인을 포함해 정하게 된다.

시는 이 지수를 정비대상지 선정 및 정비계획 수립 기준으로 활용해 정비구역이 무분별하게 남발되는 것을 막고 생활권 단위로 주거지 정비·보전·관리가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다.

이건기 시 주택정책실장은 “주거환경지표를 통해 사람과 장소를 중심으로 한 생활권 부족 시설을 파악하고, 정비사업 등을 통해 보완해 나갈 것”이라며 “이를 통해 생활권 전체의 주거환경 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