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사회적기업 생산 제품 외면… 광주 69곳, 2012년 3900만원어치 구매 그쳐

입력 2012-10-08 19:58


광주지역 사회적기업들이 생산한 제품들이 관공서와 공공기업들로부터 ‘찬밥신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사회적기업 육성에 앞장서야 할 관공서와 공공기업들이 제품 구매를 외면하고 각종 지원대책에도 소홀한 실정이다.

광주시는 8일 “소외계층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고용노동부로부터 업무를 넘겨받은 2010년부터 사회적기업 지원사업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광주지역에는 9월말 현재 인증사회적기업 27개와 예비사회적기업 82개, 인큐베이팅기업 21개 등 총 130개의 사회적기업에 1717명이 고용됐다.

인증사회적기업은 유급근로자 등 기업 규모와 합리적 의사결정구조 등 7가지 기준요건을 따져 고용노동부장관이 인증한 곳이다. 예비사회적기업은 광역단체장이 지원대상으로 삼은 곳이다. 인큐베이팅기업은 그 전 단계에 해당된다.

문제는 관공서와 공공기관 등이 사회적기업의 매출증대에 별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광주시와 5개 자치구, 4개의 공사·공단, 18개 출자·출연기관 등 광주지역 전체 69곳의 공공기관이 올 들어 사회적기업들로부터 구매한 각종 제품은 6월말 현재 3900여만원어치에 불과하다. 이마저 화장지와 청소용품 등 품목이 제한적이고 특정 기업에만 집중돼 상위 3개 사회적기업이 전체의 64.3%를 차지한 것으로 파악됐다. ‘우선구매’ 방식으로 구매에 참여한 공공기관도 4곳당 1곳 꼴인 18곳에 불과하다.

사회적기업의 성장을 돕기 위한 광주시의 지원대책도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시는 이들의 규모가 영세하고 담보가 부족해 아직 부지매입비 또는 시설비를 지원·융자하거나 국·공유지를 임대한 사례는 한 건도 없다고 밝혔다.

시는 이들의 자금난을 덜어주기 위해 광주은행과 체결한 협약에 따라 내년에 100억원의 특별자금을 연리 2%의 저리 융자를 알선해줄 계획이다.

박동희 시 일자리창출과장은 “사회적기업의 가장 큰 고민인 판로 확보를 위해 8월 말 광주 금남지하상가에 전용 전시판매장을 개설했다”며 “2014년까지 공익 추구와 일자리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사회적기업을 300개 이상으로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