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노 담화’ 주역 고노 前관방 “위안부 부정땐 日신용 상실”

입력 2012-10-08 19:11

한·일 관계 최악 속 주목받는 2人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전 일본 관방장관이 정치권을 중심으로 우경화 경쟁을 벌이고 있는 일본 사회에 일침을 가했다.

일본군의 위안부 동원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 담화’의 주역이었던 고노 전 장관은 요미우리신문의 연재물 ‘시대의 증언자’ 8일자 인터뷰에서 일본이 위안부 문제를 부정할 경우 국가 신용 상실로 연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최근 일본 우익 정치인들을 중심으로 고노 담화에 대해 수정론이 일고 있는 데 대해 고노 전 장관이 입장을 직접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고노 담화가 당시 미야자와 기이치(宮澤喜一) 내각이 책임지고 결정한 ‘내각의 의지’임을 분명히 했다. 고노 전 장관은 한국과 일본뿐만 아니라 미국 국립문서보관소(NARA)의 관련자료까지 복합적이고 신중하게 검토했다고 밝히면서, “담화가 비록 각료회의 결정사항은 아니었지만 이후 모든 자민당 정권과 민주당 정권이 답습(계승 또는 준용의 의미)해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증거자료가 없다는 이유로 지금도 고통을 받고 있는 여성들의 존재와 전쟁 중의 비극까지 없었다고 부정하는 주장으로 인해 슬픔을 느낀다”면서 국제사회로부터 일본의 인권의식을 의심받아, 국가의 신용마저 잃게 될지도 모른다”고 경고했다.

그는 16명의 피해자를 대면조사한 끝에 “일본군이 여성들을 위협해 연행하거나, 공장에서 일하게 된다고 속였다”는 증언과 함께 “하루 20명 이상의 병사를 상대하기도 했고, 일본군이 패주할 때 버려졌다”는 증언을 들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고노 전 장관은 당시 상황을 종합해 볼 때 군대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했다면서, 증언을 접한 당시 미야자와 총리가 충격을 받았다고 회고했다.

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