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 일부 ‘쓰레기 대란’ 우려…인천 수도권매립지 ‘젖은 쓰레기’ 반입저지 장기화

입력 2012-10-07 23:00

인천 수도권쓰레기매립지 인근 주민들의 젖은 쓰레기 반입 저지 활동이 장기화하면서 서울과 경기도 일부 자치단체들의 ‘쓰레기 대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수도권 주민들의 고통도 가중되는 상황이다.

7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에 따르면 수도권매립지 인근 주민들은 지난달 3일부터 1개월 이상 ‘준법투쟁’을 이유로 서울시와 경기도의 각 자치단체의 쓰레기 반입을 사실상 저지하고 있다. 인근 주민들은 지역 지키기 차원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악취의 원인이 되는 젖은 쓰레기가 일부라도 섞여 있으면 반입을 막고 있다.

이는 수도권매립지에 건설 중인 골프장의 운영권을 놓고 환경부를 비롯해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와 인근 주민, 인천시가 대립하면서 벌어진 일이다.

이런 상황은 환경부 국정감사에서도 논란이 됐다. 의원들은 쓰레기 위생매립이 주 업무인 매립지 관리공사가 골프장 개장을 놓고 시비를 벌이고 있는 것은 주객이 전도된 것이라고 질타했다. 이에 따라 환경부장관은 골프장 운영시 수익의 상당부분을 주민들을 위해 사용하겠다고 답변하는 등 대책마련에 착수했다.

현재의 상황이 보름 이상 계속될 경우 서울시는 쓰레기 대란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서울시는 1일 쓰레기 발생량 1만20t 중 22%인 2204t을 수도권매립지에서 처리해야 한다. 이 때문에 발생 쓰레기의 대부분을 수도권매립지에서 처리하고 있는 관악구, 금천구, 은평구는 쓰레기 처리에 비상이 걸렸다.

이들 3개 구는 현재 사설 소각장에서 쓰레기를 소각하고 있는데, t당 처리비용이 최고 6배 더 들어 관련 예산이 바닥나기 직전이다. 수도권매립지의 쓰레기 처리비용은 t당 1만6320원이지만, 사설소각장의 처리비용은 t당 최고 10만2000원에 달한다. 이들 3개 구를 제외한 다른 구들도 쓰레기를 모두 소각하다 보니 처리비용이 늘고 있다. 이들 구는 통상 발생 쓰레기의 10~20%를 수도권 매립지로 보냈었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오는 11일 전체 운영위원회를 열고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일부 주민들은 골프장 운영에 직접 참여하겠다는 의견을 밝히고 있다. 이에 매립지관리공사는 운영 참여는 어렵고, 캐디 및 일용직 일자리를 주거나 이익 일부를 기금으로 재투자하는 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인천시는 쓰레기 대란이 재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라도 이른 시일 안에 수도권매립지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앞으로는 서울시와 경기도가 각각 해당 자치단체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자체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