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청년인턴 들어간 자식은… 기간 끝나자 다시 ‘백수’

입력 2012-10-04 19:00


대학 졸업 후 일자리를 찾던 장모(26·여)씨는 지난 3월 서울 소재 H공사에 인턴사원으로 들어갔다.. 박봉이지만 열심히 하면 곧바로 취직될 것이란 생각에 내심 기대도 컸다. 그러나 주어진 일은 복사나 서류 정리가 대부분이었다. 직원들이 그때그때 시키는 단순 업무만 도맡았다. 5개월 인턴기간이 끝난 후 장씨는 다시 백수로 돌아왔다. 장씨는 “카이스트 졸업생 등 우수한 청년 인턴이 아르바이트생으로 활용되고 있었다”며 “막상 백수가 되고 보니 정부 정책에 이용당한 느낌”이라고 말했다.

공기업 등 공공기관에서 청년 인턴의 정규직 채용자가 극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가 4일 새누리당 최봉홍 의원실에 제출한 ‘청년인턴 채용 및 정규직 전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공공기관 285곳에서 채용한 청년인턴 1만3417명 중 정규직으로 전환된 인턴은 1717명(12.8%)에 불과했다. 2010년엔 인턴 1만4588명 중 600명(4.0%)만 정규직으로 채용됐다. 정부가 정규직 채용 때 청년인턴을 우대하라고 공공기관들에 권고했지만 거의 따르지 않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지난해 모두 청년 인턴 439명을 채용했지만 단 한 명도 정규직 전환을 하지 않았다. LH는 2010년에도 청년 인턴 352명 가운데 정규직 전환자가 없었다. 한국농어촌공사도 337명을 채용했지만 정규직으로 1명도 뽑지 않았다. 청년 인턴을 채용한 공공기관 285곳 중 단 한 명도 정규직으로 전환하지 않은 곳은 205곳(72%)이나 됐다. 아예 청년 인턴 자체를 뽑지 않은 공공기관은 19곳으로 조사됐다. 정규직으로 20명 이상 전환한 곳은 19곳(6.7%)에 불과했다.

정규직 전환실적이 낮은 이유는 대부분 공공기관이 공채 형식을 통해서만 정규직을 채용하기 때문이다. 애초부터 청년 인턴은 단지 아르바이트생쯤으로 여기는 것이다.

최 의원은 “청년 실업 해소를 위해 정부가 마련한 인턴제가 최소 비용으로 고급 인력을 사용하고 정작 고용책임은 회피하는 제도로 전락했다”고 지적했다.

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