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지지율 회복세로 반전됐지만… 인선 진통·당내 비리 朴 ‘내부 걸림돌’ 고민

입력 2012-10-04 00:33

추석 이후 지지도 회복 조짐을 보이는 새누리당 박근혜 대통령 후보가 이번 주말 중앙선거대책위원장을 비롯한 인선작업을 마무리한 뒤 본격적인 정책 행보로 옮겨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인선을 둘러싼 혼선과 계속되는 당내 비리 의혹 등이 지지세 견인에 걸림돌로 꼽히고 있다.

박 후보는 3일 공식 일정 없이 중앙선대위원장 및 국민대통합위원장 인선을 위해 관련 인사를 면담하고 정책을 가다듬는 비공식 일정을 소화했다. 수일 내에 선대위 구성을 마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추석 전 중앙선대위원장에 서울대 송호근 사회학과 교수, 국민대통합위원장에 김지하 시인이 거론되고 당사자들은 수락할 뜻이 없다고 선을 그었지만 기용 가능성은 아직 남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 후보는 추석 연휴 중에도 ‘대통합’이란 대의에 걸맞은 인사를 영입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고 한다.

후보는 황우여 대표와 더불어 공동선대위원장에 젊은 층에 어필할 수 있는 인물과 이름을 대면 알만한 사회 원로급 인사 두 명의 영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선대위 핵심 인사는 3일 “후보가 젊은 층에 어필할 수 있는 선대위원장급 인사를 여러 경로로 추천받아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이 때문에 다소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고 귀띔했다. 후보 주변에서는 송 교수 등과 더불어 경실련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임현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임 교수는 다소 보수 성향이기는 하나 지난달 범야권 성향의 ‘시민교체국민연대’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박 후보가 정책을 통해 확실한 지지율 반등을 이룰지 주목된다. 지난달 ‘하우스푸어’ 대책이 포함된 주택 정책을 발표했지만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며 기대만큼 관심을 끌지 못했다. 박 후보는 정보기술(IT)을 기존 산업에 접목시켜 일자리 창출과 성장을 동시에 이루는 ‘스마트 뉴딜’ 정책을 곧 발표할 예정이다. 이를 반영하듯 여의도 당사 4층 기자회견장의 배경 문구도 ‘국민대통합, 함께 사는 대한민국’에서 ‘이제 정책에서도 앞서나가겠습니다’로 바뀌었다.

박 후보가 본격적인 반등 기회를 엿보고 있지만 당내 상황은 녹록지 않다. 설익은 인선 때문에 뒷맛이 개운치 않다. 국민행복추진위원회는 지난달 28일 연극배우 손숙, 시인 김용택씨 등을 발표했다가 당사자들이 반발하자 삭제했다. 같은 날 대구·경북 선대위 출범식에서 런던올림픽 유도 금메달리스트 김재범 선수에게 공동 선대위원장 임명장을 전달했다 1일 번복했다.

4·11 총선과 관련한 ‘금품 의혹’도 이어지고 있다. 황 대표 비서실장을 맡고 있는 황영철 의원의 금품 살포 의혹이 터져 나왔다. 황 의원은 총선 때 지역구인 강원도 홍천군 각 면 협의회장들에게 1300만원을 준 혐의로 지난달 27일 춘천지검에 고발됐다. 황 의원은 “고발자인 권모씨가 총선 당시 내 지역 보좌관으로 활동했는데 문제가 있어 선거 뒤 사퇴시켰다. 그 과정에서 앙심을 품은 것 같다”고 해명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