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안전 강화” 담장 복원·방문예약제 실시키로… 서울교육청 “제2 사고 막자” 집중 점검
입력 2012-10-02 18:47
서울시내 초·중·고교의 담장이 모두 복원되고, 학교방문 사전예약제가 강화된다. ‘묻지마 범죄’에 학교가 무방비로 노출되자 학생 안전관리 강화 방안으로 나온 대책들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서울 계성초등학교에서 최근 발생한 둔기난동 사건 대책회의를 2일 열고 4일부터 서울시내 초·중·고의 학교보안관과 배움터지킴이 근무수칙 준수 여부 등 안전관리 현황 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제2의 계성초 사건을 방지하기 위해 등하교 시간 외에는 정문이 아닌 후문을 폐쇄하고, 개방 시에는 학교보안관 및 배움터지킴이 등을 필히 배치토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도심의 공원화율을 높이고 지역사회 교류 활성화를 위해 학교 담장을 허물면서 오히려 학생들의 안전이 취약해졌다는 지적에 따라 담장을 모두 복원키로 했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1996년부터 담장을 없앤 학교는 서울시내 모두 131개였으나 2010년 김수철 사건 등 성폭력 범죄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이 중 107개교가 울타리를 재설치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현재 담장이 없는 24개 학교는 곧바로 담장 복원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시교육청은 또 현재 실시 중인 학교 출입자 카드 발급 업무를 더욱 강화하고, 학교를 방문하기 전 미리 사전 예약을 하도록 하는 ‘학교방문 사전예약제’를 강화하도록 권장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그동안 허술하다고 지적됐던 CCTV의 철저한 관리를 위해 ‘CCTV 모니터링 요원’을 별도 지정하고 정문과 후문 등 출입구의 CCTV 개선 기능 사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한국교육개발원(KEDI)이 2010년 정부의 ‘학생안전 강화학교’ 사업으로 보안시설이 대거 도입된 경기도의 A·B초교 2곳을 현장 조사한 결과 CCTV와 지문인식 출입문, 경비실 등의 운영이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조진일 연구위원 등 KEDI 연구진은 ‘한국교육’ 최근호에 게재한 논문(범죄예방환경설계를 통한 사례조사 기반 학교범죄 예방 사업의 개선방안)에서 이 같은 조사 결과를 공개한 뒤 “시·도 교육청에 안전시설 유지관리와 기술지원을 맡는 전문조직을 둘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지난달 28일 계성초에서 무차별 둔기난동을 부린 김모(18)군은 30일 구속됐다. 경찰 조사결과 우울증을 앓고 있는 김군은 지난해 세 차례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수현 기자 siempr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