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바닥 헤맨 대선주자들의 경제·외교안보 정책

입력 2012-10-02 21:34

복지 경쟁만 말고 믿음 줄 정책 개발에 진력해야

추석 연휴가 끝나고 대통령 선거전이 재개됐다. 대선 후보들은 이제 오는 12월 19일 투표일까지 정치적 휴지기 없는 치열한 선거전을 치르게 됐다.

연휴 말미 실시한 여론조사를 보면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의 경우 과거사 논란으로 빚어졌던 지지율 하락세가 반등하는 추세이고, 무소속 안철수 후보는 출마 선언으로 비등했던 지지세가 잇따른 자질 검증의 여파로 주춤하고 있고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는 반사이익을 누리는 모양새다. 하지만 대선전 전례를 볼 때 후보들의 지지율은 엎치락뒤치락 하는 양상을 반복하게 될 것이다. 보다 중요한 문제는 후보들이 정책 경쟁을 통해 국가 비전과 국정운영 능력에 대한 국민의 믿음을 얻느냐 여부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후보들의 경제 및 외교·안보 정책에 대한 신뢰도가 현저히 낮게 나타난 것은 이런 점에서 매우 유감이다. 본보가 지난 1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후보를 지지하는 이유를 묻는 항목을 보면 ‘경제를 살릴 수 있을 것 같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박 후보 13.1%, 문 후보 6.0%, 안 후보 18.9%에 불과했다. 또 ‘남북 관계와 안보 문제를 잘 풀 것 같기 때문’이라는 답변은 박 후보가 2.7%, 문 후보 5.7%, 안 후보는 0.7%에 불과했다. 세 후보 모두 국정의 핵심을 이루는 경제나 외교·안보 정책에서 거의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런 현상은 같은 날 실시된 조선일보 여론조사에서도 확인됐다. 경제를 살릴 적임자가 누구이냐는 질문에 박 후보 26.1%, 문 후보 12.4%, 안 후보는 23.4%의 지지를 받았지만 모름·무응답이 38.1%나 됐다. 외교·안보 문제 해결 적임자에 대한 질문에도 박 후보 27.8%, 문 후보 22.3%, 안 후보 12.9%였고 모르겠다거나 응답하지 않은 비율이 36.9%였다. 경제성장 정책이나 외교·안보 정책에서 3분의 1 이상의 국민이 선뜻 적임자를 선택하지 못한 것이다.

이는 세 후보의 관련 정책이 비슷해 차별성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내실이 없어 미흡하다고 느끼는 국민이 많기 때문이다. 각 후보는 앞으로 국민들에게 믿음을 주면서 각자 정체성에 맞는 정책을 개발하는 데 보다 집중해야 한다. 표 얻기 손쉬운 복지 분야에만 치중하지 말고 경제 살리기 부문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점수가 낮게 나온 외교·안보 분야에는 더 신경을 써야 한다. 오래 경색돼 온 까다로운 남북 관계를 어떻게 풀어가고, 일본의 우경화와 중국의 팽창주의 등 동북아의 급변하는 환경에는 어떻게 대처해 나갈지 비전과 방향을 내놓고 국민들의 판단을 받아야 한다.

대선 후보 한 명이라도 이런 과정을 거쳐 국민의 신뢰를 받게 된다면 이번 대선은 미래의 국가 지도자를 추대하는 축제의 자리가 될 것이다. 여러 후보가 믿음을 얻어 국민들이 ‘행복한 고민’에 빠지게 된다면 축복이다. 믿음직한 후보가 없어 상대평가로 차선을 택하는 맥빠진 선거가 되지 않도록 후보들 모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